아세틸화된 목분을 이용해 물성이 강화된 메움제 제작으로 목조건축물 보수의 한계점 보완 연구
: 아세틸화 된 메움제를 이용하여 목조건축물의 보수 문제점 보완
A+ 받은 ppt발표자료 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1) 메움제를 이용하여 목조건축물의 보수 문제점 보완
2) 강화된 메움제 제작을 위한 목분 아세틸화
3) 아세틸화된 목분을 이용해 메움제를 제작 및 강화된 메움제로 목조건축물 시공 시 내구성 증진
2. 기존의 연구 고찰
1) 목분 아세틸화 처리를 통한 성질 변화
2) 목분 아세틸화 처리를 응용한 사례
3. 장점 및 기대효과
1) 기존의 보수 및 공사에 대한 단점 보완
2) 기존에 주로 사용했던 합성수지의 한계점 보완
4. 단점 및 보완점
1) 방법의 구체와 미흡
2) 내구성 강화 외에 메움제 물성 평가
5.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주제 : 아세틸화된 목분을 이용해 물성이 강화된 메움제 제작으로 목조건축물 보수의 한계점 보완 연구
목조문화재의 보존적인 부분에서는 연구 및 조사, 복원과 보존, 수리 등 범위가 굉장히 다양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응용될 수 있는 기술관련 연구는 매우 드물다.
특히 목재문화재 복원, 수리 시 범용 되고 있는 합성수지는 내후성이 좋아 목조문화재 보강 시 가장 적합한 재료로 사용되지만 화학적 재료인 만큼 인체에 무해한 성분방출 우려와 목부재에서 해체 시 인위적 파손우려가 있어 제시공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보완 할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해보자는 취지로 연구 계획서 작성
참고자료
· 김 철현. "목질계 Biomass 자원을 이용한 polymer composite의 제조 및 물성." 국내석사학위논문 慶北大學校, 2005. 대구
· 장진영. "목재문화재 복원용 메움제의 물리적 특성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충청남도
· 이종균. "합성수지로 보강된 결손 목재보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경상북도
· 조현철. “합성수지를 사용한 목조건조물문화재 보존처리 사례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명지대학교,2006.서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