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의 친족과 관련된 호칭어는 매우 복잡한 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심지어 가족이 아닌 사람에게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친족 관련 호칭어 중 일부를 선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5주 강의에 제시된 어휘 설명 방법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 내용을 구성해 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4.05
- 최종 저작일
- 2022.01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어휘선정
2. 어휘 제시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의 친족과 관련된 호칭어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동양, 쌀을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의 정서가 짙게 깔려있다. 쌀농사는 면적 대비 인구부양력이 크지만 동시에 엄청난 노동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유목이나 목축, 어업 등이 주요한 인구 부양 수단이었던 다른 문화권과 다르게 쌀 문화권은 여러 가족이 한데 모여 살며 일손을 도우며 같이 사는 대가족 거주문화가 형성되었다. 심지어는 집성촌이라 하여 한 마을 전체가 하나의 가문으로 이뤄지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이러한 대가족 문화에 장유유서를 중시하는 유교 문화, 그리고 어른이나 상급자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을 금기시하고 다른 호칭으로 바꿔 부르는 예절이 합해지면서 친족을 구별해서 부를 수 있는 방법이 호칭어 밖에 없다 보니 호칭어가 다른 문화권보다 세부적이고 복잡하게 발달하게 되었다. 이런 차이를 엿볼 수 있는 예시를 하나 들어보자면, 영어문화권에서는 아버지나 어머니의 여자 형제는 무조건 Aunt이고 이름을 부르는 것을 금기시하는 문화가 없기 때문에 Aunt Mary, Aunt Jenny, Aunt Laura 로 이름을 붙여 부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나와 상대방간의 가계도 상에서 관계를 엄격히 구분해서 외가 쪽인지 친가 쪽인지, 나의 부모보다 나이가 많은지 적은지, 나의 부모의 직접적인 형제인지 혹은 형제의 배우자인지에 따라서 큰 고모, 작은 고모, 숙모, 이모, 외숙모 등으로 세밀하게 분화되어있다.
참고 자료
신영미, 사회 문화적 관계에 근거한 한영간의 호칭에 관한 연구, 2010, 군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다음 블로그, “가족 관계도 만들기”, https://m.blog.daum.net/jshilpin/4 (2022년 2월 12일)
김민진, 한국 유아의 친족어 습득에 관한 연구, 2014, 유아교육연구
김영호, 초등학교 다문화 학습자을 위한 친족어 지도 방안 연구, 2011,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론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