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제목 : 부를 위한 기회, 에너지 전환과 모빌리티 투자
□ 도서저자 : 장문수, 강동진(현대차증권 애널리스트)
□ 출 판 사 : 원앤원북스
□ 출 간 일 : 2021.11.25.
□ 주요내용 : 에너지 전환의 의미 및 모빌리티 산업변화에 미치는 영향
목차
Chapter 1. 모빌리티, 신경제로 나아가다
Chapter 2. 에너지 전환과 전기화
Chapter 3. 성장의 기회① 미래에너지 산업, 디지털화가 핵심
Chapter 4. 성장의 기회② 모빌리티 사업모델의 확장
Chapter 5. 차세대 에너지 스토리지, 모빌리티에 주목하라
Chapter 6. 에너지 대전환의 주역, 태양광과 배터리에 투자하자
본문내용
□ 친환경차와 모빌리티가 불러온 자동차 산업의 변화
○ 2020년 7월 자동차 업체 시가 총액 1위가 도요타(2,072억 달러)에서 테슬라(2,023억 달러)로 바뀐 사건은 자동차 산업의 시장 가치가 구경제(내연기관)에서 신경제(전기차)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함
○ 현재 모빌리티 산업은 CASE(연결성(connected),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서비스(shared·serviced), 전동화(electrified))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음
○ 수요 정체와 내연기관 개선기술 한계는 자동차 산업을 박리다매를 위한 제조기반에서 차량 기반의 모빌리티로 확장하게 함
□ 모빌리티 산업의 협업과 환경정책을 통한 변화
○ 모빌리티 산업은 새로운 경험과 편의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인식과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제품 차별화와 제품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주력함
○ 모빌리티의 변화에 대해 규제 당국인 각국 정부의 관점은 파리기후변화협약과 친환경차 부양책, 환경 규제강화로 볼 수 있음
- 자동차의 연비 개선을 통한 배기가스 배출 감소 요구
- 보조금이나 세금감면 등의 재정정책을 통한 친환경차 구매 유인
- 충전소 인프라 확충 및 R&D·사업화 재정 지원
□ 변화의 촉매 3가지 : 코로나19, 그린뉴딜, 바이든 시대
○ 코로나19는 과거의 경제충격과 다르게 동시다발적으로 전 세계의 수요와 공급의 둔화를 초래했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을 빠르게 전환하는 촉매 역할을 함
○ 코로나19로 인한 경영환경의 변화
○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업체들은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책임 강화 측면에서 투자자의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탄소배출량이 많은 자동차 산업에서 장기 경영전략 수립에 변화를 가져올 것임
- 3차 산업혁명 : 화석연료에서 녹색 에너지로의 전환, 디지털화한 재생에너지 인터넷, 친환경 자율주행 기반의 디지털 운송·물류 인터넷을 핵심으로 기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