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빙 기업소개
설빙은 2013년 4월 부산에서 문을 열었으며, 현재 7년 이상 프랜차이즈 회사이다. 시작부터 눈과 얼음의 맛과 맛을 소비자들이 인지해 SNS와 입소문을 타고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1년 새 100여 개 매장이 넘는 눈·얼음 신드롬과 인절미 케이크 빙수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해결사는 메뉴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딸기빙수, 치즈빙수 등 다양한 종류의 빙수를 판매하고 있으며 CJ와 식품공급 계약을 통해 100여개 점포에서 매달 10t의 딸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모든 과정은 단 1년 만에 광고 없이 이루어졌고, 빙수 시장의 큰 중심을 형성했다.
2. 설빙 SWOT분석
Strength
-고급재료 사용
-점포 수 多-접근성, 인지도
-사계절 빙수 이미지
-설빙은 주로 따뜻한 색을 사용
-한국적 이미지
-우리 농산물 mou체결(청정딸기, 국산찹쌀
-다양한 연령층의 needs충족
Weakness
-전문화 다양화 한 곳에 집중하지 않음:일관성 부족
-빙수 이미지-코리안 디저트 카페보다 빙수가게라는 이미지(빙수 위주의 TV광고,, 브랜드 네임 설빙의 빙수 이미지)
-패스트푸드점, 파리바게트와 비교하면 설빙은 가장 저렴한 빙수 인절미 빙수가 7000원으로 저렴한 편 아님
-먹거리 X파일- 기업이미지추락
Opportunity
-빙수가 국민 디저트로 등극
-여름 한 철 장사를 벗어난 사계절 디저트로 전환
-중국 태국 등의 해외 진출 가능성
-주로 해외시장과 관련된 기회요소가 많음
-내수시장에서는 기회적 요소가 적다.
Threat
-대만 빙수 등 수입 디저트 카페의 유행
수입산 제품의 긍정적 반응
-유사 브랜드, 제품 등장
-트렌드가 쉽게 바뀌는 한국정서
-국내 외식업계 및 카페시장 포화
3. 설빙 마케팅전략 분석
설빙은 바이럴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다. 소비자 이메일과 다양한 SNS 계정을 통한 입소문 전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인절미와 생딸기 등 주요 식재료를 사용하는 이미지는 소비자 SNS에 게시된 게시물을 통해 확산될 예정이다.
참고자료
· 최다은(2016), 최강 마케팅 분석, 키메이커
· 김은섭(2018.03.29.) 파괴적 혁신 뒤엔 지피지기... ‘깜짝 성공’이란 없다. 한국경제
· 김윤정(2018.02.17.) 설빙, 글로벌 시장에서 코리아 디저트 알린다. 이투뉴스
· 설빙 홈페이지 (http://sulbing.co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