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진료전담공무원제도
- 최초 등록일
- 2022.03.31
- 최종 저작일
- 2021.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보건진료전담공무원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목적
2 필요성
3. 내용
1) 보건진료소
2)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4. 효과
1) 지역의 생활밀착형 건강관리
2) 지역주민들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을 높임
3) 주민들의 건강실천 역량 강화
4) 지역사회의 든든한 울타리
5. 발전방향
1)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교육 차원
2) 중앙정부 차원
3) 지방정부 차원
4) 간호연구 차원
본문내용
1. 목적
세계보건기구는 1977년 ‘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이라는 건강 실현목표를 설정하고, 1978년 알마아타(Alma-Ata) 회의에서 그 목표를 실현하는 접근방법으로 일차보건의료를 제시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목표를 ‘모든 사람에게 보다 나은 건강을(Better Health for All)’로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차건강관리의 개념을 받아들여 1980년 12월 31일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을 공포한 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지역주민에 대한 일차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최초 접근인력으로 하는 일차보건의료를 도입하였다. 즉, 보건의료취약지역의 주민들에게 보건의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보건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으로 벽, 오지에 보건진료소를 설치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배치하고, 읍, 면 지역 보건지소에 공중보건의를 배치해서 보건의료 취약지역에 일차보건의료사업을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2. 필요성
1960년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은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국민의 건강상태도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의료시설 및 의료 인력의 도시집중, 의료 인력구조의 불균형, 의뢰체계의 미비 등으로 전 국민의 건강한 생활을 보장하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았다, 즉, 급속한 산업화는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했지만, 고급 의료 인력 및 의료기관이 도시에 편중해 농어촌 등 보건의료취약지역의 주민은 의료서비스를 균등하게 제공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강문제를 가진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할 만한 자원(인력, 재정, 시설 등)이 극히 부족하였다. 이에 보건의료취약지역에 효율적인 보건의료를 제공하는 것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보건진료소를 설치, 운영하기 위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도입하였다.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2021.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김춘미, 전경자. (2012). 보건진료원들이 지각하는 보건진료소 30년간의 활동경험과 성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