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_한국사회에서 중등교육의 기능과 역할
- 최초 등록일
- 2022.03.26
- 최종 저작일
- 2021.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사회적 차원에서 중등교육에 기대와 실제 중등교육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
2. 대학입시 위주의 선발과 배치의 기능
3. 한국사회 중등교육의 사회화 기능
4. 한국사회에서 중등교육이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 교육을 받으며 살아가며, 이러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을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교육은 가정, 사회, 학교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 태어난 아이들은 누구나 일정한 시기가 되면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와 동시에 의무가 부여된다. 이렇게 누구나 학교에서 제공되는 교육은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것으로, 학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는 학생을 보호와 관리를 하고, 교육을 담당하며,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역할과 기능을 한다. 또한, 학생의 사회화를 도우며, 사회적 선발의 기초를 제공한다. 이러한 학교의 역할과 기능이 한국사회의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가? 에 대한 답은 의견이 분분하다. 그 의견은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기능론과 갈등론으로 구분한다. 기능론적 관점에서의 학교 교육의 기능은 능력주의에 초점을 두고 사람을 능력과 노력에 따라 선발하며 가장 능력 있는 사람이 가장 높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다는 주장과 개인의 능력에 따른 차이를 말하는 기능론적 관점은 허구에 가깝다고 주장하는 것이 갈등론적 관점이 있다.
참고 자료
『교육사회학』제2강: 교육현상과 기능적 설명. 학습자료.
『교육사회학』제3강: 교육현상과 갈등적 설명. 학습자료.
김성식·류방란(2008).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가정배경, 학생 노력, 학교
경험의 영향력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8(2), 31-51.
김종두(2016).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방하남·김기헌(2003). 한국사회의 교육 계층화: 연령코호트간 변화와 학력
단계별 차이. 『한국 사회학』, 37(4), 31-65.
양미경(2014). 사회문제의 교육문제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의 의의와 한계.
『교육원리연구』, 19(1), 31-50. 한국교육원리학회.
이제봉(1998). 학업성취와 진로선택 중심으로 본 학교교육의 역동성: 인종과
사회계층 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8(1), 1-18.
전상진(2011). 누가 왜 교육을 경멸하는가?: ‘교육의 경멸’ 논변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의 모색. 『문화와 사회』. 10, 327-369.
장상호(2005). 『학문과 교육(중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1986). 교육학의 비본질성. 『교육이론』. 1(1), 5-5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