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감은사지 사리장엄구 유물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들어가며Ⅱ. 사리
ⅰ. 사리
ⅱ. 사리 신앙과 사리의 전래
Ⅲ. 감은사지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ⅰ. 발견 경위
ⅱ. 감은사탑 사리장엄구의 구조
Ⅳ. 문무왕과 감은사탑 사리장엄구
Ⅴ.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우리나라에는 무수히 많은 탑(塔)이 있다. 불교가 가는 곳이라면 탑이 있다. 그렇다면 이 많은 탑을 세우기 시작한 연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사리(舍利)를 봉안하기 위해서이다. 사리는 부처님의 유골을 말하는데, 이 사리는 화려하게 장식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안에 안치된다. 특히 필자가 사리장엄구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유물이 있는데, 그것은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금동 사리장엄구이다. 몇 년 전 국립중앙박물관을 관람하던 필자의 눈에 확 들어온 유물이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이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莊嚴具; 이하 동탑 사리장엄구)이다. 약간은 휘고 장식이 떨어진 부분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빛나는 섬세한 장식에서 과거의 찬란한 모습을 충분히 떠올릴 수 있었다. 그러던 중 답사로 경주박물관을 방문하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색은 약간 다르고 천개(天蓋) 부분이 없지만 앞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본 사리장엄구와 똑 닮은 유물을 보았다. 바로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感恩寺址 西三層石塔 舍利莊嚴具; 이하 서탑 사리장엄구)였다.
이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금동 사리장엄구는 한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이며, 공예적으로도 고대 한국의 사리장엄을 대표할만한 작품이라고 한다. 서탑 사리장엄구가 보물 제366호, 동탑 사리장엄구가 보물 1459호로 지정되어 있음에도 그 가치를 짐작해볼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 감은사탑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에 대해 알아보려 하며, 그에 앞서 먼저 사리와 사리 신앙에 대해 살펴보겠다.
Ⅱ. 사리
ⅰ. 사리
사리는 산스크리트어 Śarīra를 음역한 것이다. 이 Śarīra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여 사리라(舍利羅)라고 하다가 줄여서 사리(舍利)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사리 외에 설리라(設利羅) 또는 실리라(室利羅)라고도 쓰는데, 이를 번역하면 유신(遺身)·영골(靈骨)이 된다.
참고 자료
三國史記강순형, 「감은사탑 내사리기 주악·무동상론」, 미술사학연구 178, 미술사학회.
강우방·신용철, 한국미의 재발견 탑, 솔, 2007, pp.14-15.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김진환, 한국불교학연구총서 18 – 불교미술 3, 불암문화사, 2003, pp.159-160.
석우 재한, 사리, 불가사의한 법신, 운주사, 2019.
신대현, 적멸의 궁전 사리장엄, 한길아트, 2003-05.
신대현, 한국의 사리장엄, 혜안, 2003-11.
신명희, 「고려시대 사리장엄구 연구」, 동악미술사학 5, 동양미술사학회, p.48.
주경미, 「신라 사리장엄방식의 형성과 변천」, 신라문화 4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pp.178-179.
한정호,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보각형사리기 복원재고」, 신라문화 3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2010,
“과학이 설명하는 사리”, 대한민국 정책포털, 2005.05.30, https://news.naver.com/main/read. nhn?mode=LSD&mid= sec&sid1=117&oid=078&aid=0000014539(2020,03.01.).
삽도 1 – 동탑 사리공 평·단면도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삽도 2 – 동탑 사리내함 추정 복원도(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삽도 3 - 서탑 사리내함 실측도(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삽도 4 - 동탑 복발형 덮개 단면도(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삽도 5 - 서탑 수정제 사리병 평면도(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삽도 6 - 서탑 복발형 덮개 평면도(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삽도 7 - 서탑 복발형 덮개 단면도(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삽도 8 - 사리내함 기단부 평면도(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숫자 표기 필자)
삽도 9 - 동탑 사리내함 천개부 (국립문화재연구소,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삽도 10 - 서탑 사리내함 천개부(김재원·윤무병, 감은사지 발굴조사보고서, 을유문화사, 1961.)
도판 1 - 동탑 사리내함 기단부 남측 신장상 및 보살상
도판 2 - 서탑 사리내함 기단부 신장상 및 보살상
도판 3 - 동탑 수정제 사리병
도판 4 - 동탑 사리병좌-팔릉연화받침 및 투조받침
도판 5 - 동탑 복발형 덮개 및 보주
도판 6 - 서탑 수정제 사리병
도판 7 - 동탑 사리내함 천개하단 문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