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수님에게 피드백 받은 꼼꼼한 자료입니다.- 꼼꼼한 문헌고찰
- 약물, 진단검사, 혈액학적 검사 포함
- 입원 후~ 퇴원 시까지의 활력징후&통증 양상 포함
- 간호계획 하나 당 2~3개의 수행
- 수술 후 운동, 식이요법에 대한 교육&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에 대한 시각적 교육 내용 포함
- 결론 포함
목차
I. 문헌고찰II. 사례보고서
Ⅲ. 교육자료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구조와 특성
연골은 전신의 연골관절과 윤활관절에 위치해 있으며 연골세포와 연골기질로 구성된 조직으로 움직임이 비교적 적게 필요하다면 뼈와 뼈 사이는 연골 관절의 형태를 보이고 많은 운동이 필요한 곳이라면 연골면 사이에 윤활액을 두고 접촉하는 윤활관절의 형태를 띤다. 연골은 탄력성이 높아 주어진 힘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고 관절 연골의 마찰 계수는 매우 낮아 마찰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관절이 움직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관절 연골은 많은 연골 기질과 연골 기질 사이에 드문드문 분포한 특수하게 분화된 세포인 연골 세포로 구성된다. 연골 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에는 물, 단백다당과 교원질이 있으며 그 외에도 기타 단백질과 당단백이 있다. 관절 연골은 깊이에 따라 관절면으로부터 연골밑뼈까지 표재층, 중간층, 심층 및 석회화층의 네 층으로 구성된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보면, 심층과 석회화층 사이에는 물결 모양의 호염기성 파란 선이 관찰되는데 이를 타이드마크라 하며 나이가 들수록 그 수가 증가하게 된다.
연골은 완충 작용을 하며 에너지를 흡수하고 윤활관절을 덮고 있는 관절 연골에서는 거의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연골 세포는 관절 연골을 만들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연골 모세포에서 세포 분열이 일어나나 일단 성장이 멈추면 연골 세포는 정상적인 환경에서 더 이상 분열하지 않는다.
병태생리
건강한 관절은 부드럽고 반짝이는 흰색으로 보인다. 이것은 충격을 흡수하는 특성에 기여하는 독특한 점탄성 및 압축성을 지니고 있다. 연골의 세포 구성성분인 연골세포는 관절에서 뼈의 끝을 보호하는 관절 연골의 통합성을 지속적으로 재구성 하고 유지한다. 연골 세포는 실제로 2형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리칸을 생성하여 연골 기질을 생성한다. 특히 친수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무거운 관절 사용으로 마모되는 것에 저항하는 연골 능력을 증가시킨다.
초기 병리학적 변화는 모체에서의 프로테오글리칸 함량의 감소를 포함하여 연골에 의한 연화와 탄력성의 소실을 초래한다. 신체가 보상하려고 노력할 때 연골 세포는 초기에 증식하여 프로테오글리칸과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리소좀 효소에 의한 점진적인 파괴는 결국 과체중을 일으키고 연골은 점점 관절 마찰에 민감하게 된다.
참고 자료
황옥남 외 (2017), 성인간호학 상, p192~p195, 현문사원종순 외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p321~325, 현문사
한국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 p451~p461, 현문사
MEG CULANICK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P.257~261, 138~143, 현문사
서울 아산병원 ‘골관절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28, 2021.03.19.
서울 삼성병원, ‘골관절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876&CONT_SRC=HOMEPAGE&CONT_ID=6710&CONT_CLS_CD=001020001005, 2021.03.19
정영복 외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 39권 제 1호, ‘슬관절부분치환술‘, https://www.jkoa.org/Synapse/Data/PDFData/0043JKOA/jkoa-39-108.pdf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골관절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951&cid=51004&categoryId=51004, 2021.03.19
한양대학교 병원, ‘슬관절(무릎) 단일 구획 치환술’,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reference.do?action=view&bbsId=healthLib&nttSeq=10723, 2021.03.22.
‘슬관절부분치환술‘, 대한슬관절학회
명의,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30721&cid=67205&categoryId=67206,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