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을 물어뜯는 조카의 문제행동을 행동주의로 접근하여 구체적인 치료계획을 세워보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3.21
- 최종 저작일
- 2022.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과목명: 심리학개론
·주제: 손톱을 물어뜯는 조카의 문제행동을 행동주의로 접근하여 구체적인 치료계획을 세워보시오
목차
Ⅰ. 서론, 문제행동이란?
Ⅱ. 본론
1. 손톱을 물어뜯는 조카의 문제행동
2. 문제행동의 해결방안을 제시-스키너의 행동주의로 접근하여 구체적으로 기술
1) 손톱을 물어뜯으면 좋지 않은 점, 물어뜯지 않을 때의 좋은 점을 언급하여 문제 행동 변화 시도
2) 일주일간 손톱을 물어뜯지 않으면, 조카가 좋아하는 떡볶이 사 주기
3) 한 달간 손톱을 물어뜯지 않으면, 조카가 키우고 싶었던 토끼 사 주기
Ⅲ. 결론, 스키너의 행동주의에 입각한 문제행동 해결방안에 대한 내 견해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은 살아가다 보면 종종 문제행동을 일으킨다. 장난꾸러기나 심술쟁이가 아닌 아이들인 경우에도, 이들은 지속적인 문제행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편, 이들은 또래 친구들과 잘 지내다가도 의견이 맞지 않으면 때리기도 하고, 꼬집기도 하고, 물건을 집어 던지기도 하는데 이런 행동은 확실한 문제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수의 이들은 감정보다 이성이 먼저 작용하여 아무리 싸우고 다툰다고 해도 상대방을 때릴 생각을 하지 않고 말로서 조용히 사건을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성보다 감정이 앞서서 상대방에게 물리적 가해를 하는 이들은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확연히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이렇게 타인에게 피해를 주려고 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혼자서 자신의 머리카락을 쥐어뜯는다든지, 아니면 상처가 나서 후에 들어앉은 딱지를 자꾸 떼려고 한다든지, 또, 계속 입술을 쥐어뜯어 피가 나게 한다든지 하는 것도 문제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머리카락을 쥐어뜯고, 딱지를 떼려고 하는 행위는 잘 해결되지 않는 일로 인해 이를 악물고 악을 쓰며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간과할 수 없는 문제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화심리학 삼국지 –2018.02.11., 동아사이언스-
[장근영의 팝콘 심리학] 당신이 믿는 확률과 미신 –2020.10.19., 중앙시사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