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 자가 유방검진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자가유방검진에 대한 필요성,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자가 유방검진의 필요성
Ⅱ. 본론
1. 자가 유방검진
2. 자가 유방검진 방법
Ⅲ. 결론
1.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자가 유방검진의 필요성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사망 원인의 1위는 암이다. 2018년 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계속 우리나라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 2018년 유방의 악성신생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명으로 했을 때 총 4.8명이다. 절대 작은 수가 아니다. 또한 2017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40세~85세 이상( 4,031,787명)에서 유방암을 진단 받은 사람은 총 598,907명이고, 유방암의심, 판정유보, 기존 암환자까지 모두 빼면 정상 판정을 받은 사람은 2,865,936명이다. 중년~노인들 중 약 25%가 유방암을 진단 받았거나, 유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사람들인 것이다.
과연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수치이다.
우리는 유방암을 미리 예측하거나, 조기 발견으로 사망률을 낮출 수는 없을까? 유방 종양은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나뉘는데, 양성은 상대적으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를 하지 않는 데 비해 악성은 성장이 빠르고 주위 조직과 다른 신체 부위로 퍼져 나가 생명까지 위협하는 수가 많다.
유방암은 연구가 가장 많이 된 암 가운데 하나인데도 아직 발생기전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위험인자는 많이 알려져있다. 유방암 고위험군은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 한쪽 유방에 유방암이 있었던 사람, 비만한 사람, 가슴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사람 등이 있다. 미리 위험인자를 알고, 유방암을 예방 할 준비를 해야한다.
참고 자료
유나연 외 1명, 「지역사회 중노년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실태 및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여성건강, 14(1), 1-18
통계청, “사망 원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통계청, “유방암”,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9, 255~256쪽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8, 253~2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