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최한기의 서학관
- 최초 등록일
- 2003.11.30
- 최종 저작일
- 2003.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은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목차
Ⅰ.최한기의 생애
Ⅱ.본문(최한기의 사상)
가)최한기의 시대 인식과 자연학적 인식론
나)기학에서 근대 과학의 의미
다)『지구전용』를 통해 본 최한기의 세계의식
마)최한기의 사회·정치적 견해
바)'최한기의 농학'의 의의
Ⅲ.맺음말
본문내용
혜강 스스로 이름붙인 '기학(氣學)'은 그의 이러한 관심이 이루어낸 학문체계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그러므로 이 명칭은 기학이 이학(理學)이나 심학(心學)의 문제의식과는 다름 차원에서 제기 되었고, 이 때문에 이학이나 심학의 한계성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는 기학을 이학이나 심학에 대립하는 사상체계라고 보지 않았다. 오히려 그런 학문들이 기학이 탄생하는선구 역할을 했다는 관점을 가지고 학술적인 변천사를 다루고 있다. 그것은 최한기가 더욱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학술의 변천사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주자학적 전통론에 입각한 학문관을 벗어나 새로운 기준에서 학문의 역사를 다루었던 것이다. 그 새로운 기준은 허(虛)와 실(實), 무형(無形)과 유형(有形)의 구분이다. 기학은 실학(實學)이고 유형학(有形學)이라고 밝히면서, 또한 이 기준에서 이전의 모든 학문을 종합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술의 유형을 허무학(虛無學), 성실학(誠實學), 운화학(運化學)이라고 밝히면서, 허무학과 성실학의 장점을 잇고 단점을 극복한 운화학이 자신의 기학이라고 선언한 것이다.
현대 연구자들은 최한기의 사상을 기학, 기철학, 운화기철학 등으로 이름 붙이고 있다. 그 중심에는 기학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기와 운화는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그는 기의 속성을 활동운화라고 규정했다. 이것은 기의 생명력, 운동성, 순환성, 변화성을 표현한 개념이다. 이것을 줄여서 '운화'라고 한다. 그러므로 최한기의 기학은 '운화기의 철학'이라고 바꿔 말할 수있다. 기학은 인간-사회-자연의 세 영역을 일신운화-身運化-통민운화(統民運化)-대기운화(大氣運化)의 세 단계로 나누어 보면서 도 결국 세계는 운화기로 통합된다고 본다. 또한 다루는 대상에 따라 수십개의 더욱 세분된 분과 학문을 포함한다. 최한기으 저술안에는 35종의 넘는 '학(學)'의 이름이 나온다. 기학의 분과 학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역수학·지구학·천문학·격물학(격물학)·물류학(물류학)·수학·기계학·기용학(기용학)·제기학(제기학)·종식학(종식학)·중학(중학)·정교학(정교학)·전례학(전례학)·형률학(형률학)·선거학(선거학)·용인학(용인학)·병학(병학)·사학등이다. 기학의 이러한 구성체계는 서
양의 과학 지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조선말 실학자) 최한기의 철학과 사상 (최영진, 철학과현실사)
최한기 시대 인식과 자연학적 인식론 ( 김용헌, 韓國學論集)
·최한기의 서양과학 수용과 그 문화적 함의 (이현구,韓國學論集)
·최한기의 (심기도설)에 대하여 (노태천, 과학사상)
·최한기의 천문학 저술과 기륜설 (박권수, 과학사상)
·최한기의 기학과 근대과학 (이현구, 과학사상)
·최한기의 서구제도에 대한 인식 (권오영 ,韓國學報)
·최한기의 사회관 (이우성, 朝鮮後期論文選集)
·최한기의 (인정)에 나타난 관료제도론 (이강선)
·최한기의 농학 (신동원, 과학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