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어떤 성격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은 그 사람이 일을 처리하거나 대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행동을 통해 알 수 있다. 학자들이 제시한 성격이론들을 상호 비교한 후 자신이 생각하는 건강한 성격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3.09
- 최종 저작일
- 2022.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Maslow의 견해
2. Freud의 견해
3. Symonds의 견해
4. Allport와 Ellis의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건강한 인간‘이란 성격의 통합을 최대한으로 이루면서 현실과의 접촉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인간이다. 여기에서 건강이란 말은 말할 필요도 없이 병이나 기질적 장애가 없다는 소극적인 의미가 아니라,
’자기의 개인적 생활에서나 사회적 생활에서 최대한의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적극적인 의미이다. 즉, 개인이 강한 체력과 활발한 정신작용 및 안정된 정서를 갖고 가장 능률적으로 생활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따라서 ’건강한 인간‘이라는 인간도 이와 같은 건강상태를 언제나 유지·발전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그런데, 인간의 이러한 통합성과 제도적 적응성과의 발달적 일치는 하나의 이상에 불과하다. 거기에는 어느 한 쪽에 과불급이 있기 마련이다. 즉, 우리들이 현실과 매우 적합하게 접촉을 잘 유지하게 됨으로서 개성을 상실해서 참된 자아에서 소외되거나, 아니면 분열과 갈등이라는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자아실현이나 창조성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로도, “통합된 성격의 구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한 바 있다. 그러나 역으로 개인의 성격이 조화되고 통일되고, 또 통합적인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현실과의 접촉을 잃고 있다면 그것은 자폐적인 성격이 되고 외계와의 원만한 적응을 괴할 수 없다는 것은 불을 보듯 훤하다. 그래서 개인이 자기의 심신기능이 충분히 작용하고 독자적인 개성을 전개하면서 진실로 상궤를 벗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외적인 현실과의 연계를 유지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
참고 자료
김광기 외3(2004). 종교성이 청소년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6(1). 179-199.
김원경(2015).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의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 32(2). 455-464.
서경현(2020). 건강행동 준수에 대한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 검증: 낙관적 편향 및 지연할인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5). 1007-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