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자분류체계의 개념과 목적
환자분류체계는 환자의 간호요구와 이에 따라 필요한 간호시간이 비슷한 환자들을 범주화하여 환자분류군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스스로 자가간호를 할 수 있는 정도와 간호사에게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경환자, 중등환자, 중환자, 위독환자군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분류군에 따라 간호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간호인력을 산정할 수 있다. 초기의 환자분류체계는 필요한 간호인력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생산성, 간호수가, 예산수립, 질 평가 등 다양한 간호관리활동에 이용되고 있다. 즉 환자분류체계의 목적은 환자들의 다양한 간호요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간호인력산정과 적정 인원을 배치하는 것이다.
2) 환자분류체계의 접근 방법
압델라와 레빈은 환자분류를 위한 접근방법을 원형평가와 요인평가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 원형평가방법
각 범주별로 간호서비스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간호요구량을 광범위하게 기술하고 그 유사성에 기초하여 환자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때 각 범주를 대표하는 환자의 특성이 기술됨으로써, 개별 환자가 어느 분류군의 환자 특성과 가장 유사한지 평가하여 환자를 분류할 수 있다. 원형평가는 활용하기 쉽고 시간소요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정확성과 객관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 요인평가방법
환자의 직접간호요구를 나타내는 요인을 대표적 지표로 설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간호 요구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과 관련된 업무를 시행하는 데 환자 특성에 따라 소요되는 평균수행시간을 측정하고 적용함으로써 간호요구량에 따라 환자를 분류할 수 있다. 원형평가방법에 비해 객관성과 정확성이 높은 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병원간호사회에서는 직접간호요구를 12개의 평가요인으로 구분하여, 합산한 총점에 따라 4개의 환자 분류군으로 나눈다.
참고자료
· 김조자, 박지원. 직접 간호활동 분석을 기초로 한 환자분류체계의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보건연구정보센터
·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862, ‘간호관리료 차등지급제’ 양극화
· http://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411, 간호차등수가제 기준 바꿔야 인력난 해소
·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516, 간호수가체계, 오는 10월 대대적 변화 예고
· http://medigatenews.com/news/2511436843, 간호사도 수가 개발 필요하다
·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6935, "간호사 인력배치 향상 위한 제도 보완 시급"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