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토론자료로 사용했던 레포트입니다.
리프만의 견해를 중심으로 저의 의견을 써보았습니다.
많이많이 애용해주세요..*^^*
목차
Ⅰ. 序
Ⅱ. 실정법, 자연법 그리고 보통법
Ⅲ. 리프만의 보통법적 관점
Ⅳ. 보통법적 관점과 법의 해석
Ⅴ. 結 - 적극적인 법 해석을 위하여
본문내용
대다수 한국인들은 법적 절차를 통해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는 생각에 쉽게 동의하지 않는다. 권력과 富가 사법적 판결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구심은 민주주의의 기초인 法治가 여전히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나는 법해석의 일관성을 바라보는 경직된 관점의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민주화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의 사법부는 법에 대한 적극적 해석을 기피하고 있는데, 이로 말미암아 법의 권위가 실추되고, 법적용의 공정성이 의심받고 있다는 것이다. 사법부가 법을 경건하게 인식하고, 법에 대한 탄력적인 해석을 기피하는 속에서는 ‘법의 감각’이 살아날 수 없고, 국민들 안에서 준법정신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과 계기가 만들어지기 어렵다. 이에 나는 법해석의 일관성이라는 문제를 정치사상적 논쟁의 대상으로 제기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강준만,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한나래, 1994
강정인, 소크라테스 악법도 법인가?, 문학과 지성사, 1994
김대영, “정치평론과 민주적 공론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김무상, 미국은 가짜다, 넥서스, 1995
김철수, 법과 정치, 교육과학사, 1995
김홍우, 현상학과 정치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9
-----, “Due Process와 한국정치의 재조명”. -----, 1999
박상길‧ 진성현, 법학개론, 학문사, 1991
안경환, “미국지성사의 흐름, 법과문학, 1999
-----, “미국 사회의 지적 흐름, 서울대학교 출판부,1999
유병화, 법철학, 박영사, 1984
임상원, “바람직한 선거보도의 방향”, 관훈저널 82호, 2002
정운장, 법학개론, 박영사, 1994
최명 ‧ 백창제, 현대 미국정치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한상희, “법과 사회 운동 전개의 한계“,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인섭, “비판법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