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inical Data
A. 일반 정보
B. 건강력
C. 생활양식
D. 신체사정
E. 진단적 검사
F. 투여 약물
2. Medical Diagnosis(문헌고찰)
A. Dichorionic diamniotic (DCDA) - 양막분리
B.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 임신성 당뇨병
3. Abnormal Data Lists
4. Data clustering & Preliminiary Diagnosis
5. Nursing Diagnosis
6. Nursing Plan / Intervention / Evaluation
본문내용
- 주 증상: ut. contraction senses short CxL(Cervix Length 자궁경부길이)
- 진단명: Intrauterine pregnancy(IVP) 33wks, twin pregnanc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preterm labour with delivery, 22 weeks or more and less than 34 weeks pregnancy Maternal care for..
<중 략>
Dichorionic diamniotic (DCDA) - 양막분리
쌍둥이가 각자의 태낭에 양막과 태반을 각각 따로 갖는 것으로 두 태아는 보통 다른 유전형질을 가진다. 일란성, 이란성이든 완전 분리되어 공간적 문제를 야기한다.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 임신성 당뇨병
포도당이 정상 범위보다 높은 상태로서, 임신 중 처음 발견되거나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인슐린 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 증가하는 임신 24~28주에 발생하였다가 출산 후에는 사라지는 당뇨병의 한 형태로,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은 임신성 당뇨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임신성 당뇨병은 기형 빈도가 증가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나 신생아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초등학교 때부터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고, 사춘기에 내당능 장애로 발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한 2시간 75 g 경구포도당부하검사 결과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①공복 혈장혈당: 92mg/ dL
②포도당부하 1시간 후 혈장혈당: 180mg/ dL
③포도당부하 2시간 후 혈장혈당: 153mg/ dL
치료의 목적은 정상 혈당 유지와 바람직한 체중 증가이다. 정상적인 혈당은 식전 60~90mg/dl이고 식후 2시간에는 120mg/dl 이하이다. 체중증가는 임신 전 체중에 따라 결정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