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 문헌고찰 및 관련 논문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환에 대한 자가학습
2. 해당 질환에 대한 간호중재 동향 분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질환에 대한 자가학습
Disease
급성 신부전이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신장 기능 저하의 결과로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급성 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 에서 나타난다.
Etiology
1) 신장 자체에는 이상이 없지만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로 인해 신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한 경우 (빈도: 55%)
- 출혈, 구토, 설사, 저혈압, 심부전, 신독성 소염제 사용 등
2) 신장 자체에 이상이 있어서 소변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빈도: 40%)
- 신장 혈관 이상, 악성 고혈압, 급성 사구체 신염, 혈관염, 신독성
항생제나 항암제 사용 등
3) 소변이 배설되는 요도 및 방광이 막힌 경우 (빈도: 5%)
- 전립선 비대증, 방광 신경지배 이상, 종양 등
Signs & symptoms
소변량이 하루 400cc 미만으로 감소하는 핍뇨 증세가 흔하며, 소변량이 줄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외 전체적인 신체 증상은 다양하며, 이 중 감염증은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신증상
- 신경계: 의식 혼탁, 경련
- 심혈관계: 고혈압, 부정맥, 허혈성 심장질환
- 호흡기계: 폐부종, 폐출혈
- 위장관계: 식욕부진, 구토, 장 마비, 위장관 출혈
Diagnostic tests
혈액 검사상 요독 수치(주로 크레아티닌)가 갑자기 상승하면 급성 신부전으로 진단한다. 그 외 다른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원인을 진단한다. 원인 신질환을 감별하기 어려우면 신장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Treatment & intervention
원인에 따라 원인에 맞는 치료를 한다. 이와 함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수분 및 단백질 제한, 전해질 균형, 산-염기 균형, 충분한 칼로리 공급, 감염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합병증 예방 및 치료 등의 방법을 사용하며, 응급 시에는 혈액 투석을 시행하기도 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급성 신부전, www.snuh.org
·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 신부전, www.amc.seoul.kr
· 김의식, 함영록, 장원익, 정지윤, 권오경, 정사라, 최대은, 나기량, 이강욱, 신영태, "지속적 신대치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으로 치료받은 급성 신부전증 환자들의 예후 인자."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9.1 (2010): 54-63.
· 나지선 · 이완수 · 백종훈 · 박하열 · 김현리 · 정종훈. "급성신부전의 치료로 지속적 신대치요법과 간헐적 혈액투석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인자 및 결과분석."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35.3 (2010): 188-194.
· 이완수. "급성 신부전의 치료로 지속적 신대치요법과 간헐적 혈액 투석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후 인자 및 결과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광주
· Co, Ivan, and Kyle Gunnerson.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Acute Kidney Injury, Electrolyte Abnormalities, and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the Critically Ill.” Emergency medicine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37,3 (2019): 459-471.
· Karakala, Nithin, and Ashita J Tolwani. “Timing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Acute Kidney Injury.” Journal of intensive care medicine vol. 34,2 (2019): 94-103.
· Ronco, Claudio et al.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acute kidney injury: controversy and consensus.” Critical care (London, England) vol. 19,1 (201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