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조사방법론] 지역 조사활동의 방법과 실재
- 최초 등록일
- 2003.11.25
- 최종 저작일
- 2003.11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지역조사방법론에 입각하여, 실재로 설문을 통해 지역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방안을 모색한 과제이다.
지역조사를 하려고 준비하는 분들에게 좋은 본보기 자료가 될 것임을 감히 단언한다.
조사방법론 과제 A플러스로, 교수님의 참고자료로 쓰였다.
목차
I. 서론
지역조사 활동을 계획함에 있어서
II. 본론1
지역의 일반적 특성(자원분석)
1. 동구지역에 대해서
2. 안심 3,4 동 지역에 대해서
III. 본론2
설문조사를 통한 지역별 문제점 파악
IV. 본론3
지역에서 현재 진행중인 계획들
1. 동사무소 주민참여프로그램
2. 대구종합사회복지관 운영프로그램
3. 변화하고 있는 서호동 주변
V. 결론
지역별 문제점에 대한 대안 제시
VI. 조원들의 느낀점
지역조사활동을 마치고
VII.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I. 서론
우리 조는 동구 안심 3,4동의 서호동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을 통해 지역문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의식과 생활실태 및 욕구를 조사하여 지역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기로 하겠다.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와 급변하고 있는 환경,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지역사회사업의 발전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지만 제일 시급한 지역주민의 욕구를 파악하여 좋은 대안을 마련하기에 힘쓰도록 할 것이다.
II. 본론 1 - 지역의 일반적 특성(자원분석)
1. 동구지역에 대해서....
동구는..
대구지방은 신라시대의 달구화현 일명 달불성이라고 칭하였고, 서기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대구(大丘)로 개칭되었다.
우리 동구는 일제 시대인 1938년 11월 2일 대구부 동부출장소가 개설되면서 동구의 모습이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1963년 1월 1일부로 대구시 동구로 승격 (면적 96.92㎢)하였다.
1980년 4월 1일 수성구 신설로 동촌출장소가 폐지되었고, 1981년 7월 1일 직할시 승격과 동시에 경산군 안심읍과 달성군 공산면이 동구로 편입되었다.
1986년 12월 22일 현재의 동구청 장소로(신암5동 소재)신축 이전하였으며, 1987년 1월 1일 관할구역 조정으로 연경동이 북구로 편입되었으며,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동구로 행정구역 명칭변경과 1995년 7월 1일 민선구청장 취임과 더불어 비로소 구민에 의한 구민을 위한 행정을 수행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1>지역사회복지론, 김종일, 현학사, 2003.8
2>지역사회복지론, 최일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1
3>사회복지시설을 위한 지역사회자원 개발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10
4>지역사회복지의 이해, 김범수, 현학사, 2003.8
5>지역사회복지론, 고수현 외, 대학출판사, 2003.8
6>지역사회복지론, 박태영, 현학사, 2003.8
7>지역사회 복지론, 사회복지사국가시험연구회, 은산미디어(박정희), 2002.3
8>대구광역시동구청 http://www.gu.dong.taegu.kr
9>대구종합사회복지관 http://www.kwf-daegu.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