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Ⅱ. 선행연구 동향
Ⅲ.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Ι. 주제
미혼모 (unwed mother)
Ⅱ. 선행연구 동향
미혼모와 관련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해보았다.
미혼모들의 경험을 통해 본 공공서비스 전문가들의 미혼모들에 대한 인식에 대한 연구(성정현김희주, 이미정, 박영미, 2016) 결과, 미혼모들은 환자로서, 지역주민 또는 학부모로서 정당한 대우를 받아야 할 병원이나 주민센터, 어린이집에서조차 종사자들로부터 부정적인 시선이나 비하하는 태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전문가들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모성의 권리를 존중받지 못하고,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않거나 불친절한 태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그리고 주민센터 공무원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불친절하고 권위적인 태도와 차별적 태도, 공무원의 정보미흡으로 인한 불이익을 경험하였다고 했다. 또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에서는 미혼모 자녀의 차별경험들을 접하면서 본인의 자녀가 어린이집에 가기도 전부터 이러한 차별들에 대해 두려워하였고, 실제 미혼모의 자녀라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미혼모의 자기인식과 가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낙인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펴본 국내 연구 (정지연, 이미정, 2020) 결과, 미혼모들이 주체적 존재로서 낙인에 대응하는 것은 미혼모를 둘러싼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가능하다고 하였다. 결혼과 출산은 선택이라는 가치관의 부각, 입양중심에서 양육중심으로의 미혼모 정책의 변화, 한국 사회에서 가족유형의 변화와 다양성 인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다는 점 등이 미혼모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환경 변화의 예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참고 자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7356&cid=62841&categoryId=62841
정지연, 이미정. (2020). 미혼모에서 좋은 엄마로 위치하기: 양육미혼모의 낙인 대응에 대한 연구. 젠더와 문화, 13(2), 115-151
하지선, 김지선, 황경란. (2020). ‘시설 입소 중심’ 미혼모 지원의 한계와 개선방향.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4(3), 95-119.
성정현, 김희주, 이미정, 박영미. (2016). 미혼모들의 경험을 통해 본 공공서비스 전문가들의 미혼모들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404-418.
Unmarried Mothers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ole of Child Development Accounts, Huang, Jin; Kim, Youngmi; Sherraden, Michael; Clancy, Margaret.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New York Vol. 26, Iss. 1, (Jan 2017): 234-247.
Why Do Families Differ? Children's Care for an Unmarried Mother
Henretta, John C; Soldo, Beth J; Van Voorhis, Matthew F.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Minneapolis Vol. 73, Iss. 2, (Apr 2011): 383-395.
Paterson, M. (2017). The eighteenth-century lying-in hospital and the unmarried mother. Historian, (133), 42-43.
Bennett T et al. (1994) ‘Maternal marital status as a risk factor for infant mortality’,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26(6), pp. 252–271. doi: 10.2307/2135890.
여성건강간호학I 제 10판,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