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 무한칭찬받으며 A+받은 우수자료입니다.
병명은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케이스 스터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간호과정이니 참고하시는 데 정말 세세하고 좋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간호진단 5개, 비효과적 호흡양상,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2가지
투여 약물 정보, 사진, 용법, 용량, 부작용까지 다 세세하게 적혀있습니다!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교수님께 무한칭찬받으며 A+받은 우수자료입니다.
병명은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케이스 스터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간호과정이니 참고하시는 데 정말 세세하고 좋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간호진단 5개, 비효과적 호흡양상,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2가지
투여 약물 정보, 사진, 용법, 용량, 부작용까지 다 세세하게 적혀있습니다!
목차
1. 사전학습(진단명 관련)
1) 해부와 생리(Anatomy & Physiology)
2)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질환의 진단법
4) 원인
5) 증상
6) 치료
2. 중환자실 입실 전 환자 사정
3. 중환자실 간호
본문내용
1. 구조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위치는 종격동(mediastinum) 내 2번째~5번째 갈비사이 (늑간)으로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낸다.
2. 심방과 심실
심장은 사이막(중격)에 의해 오른심장과 왼심장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받고, 좌심방은 4개의 허파(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 (산화된 혈액)을 받는다.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을 받아들여 허파동맥을 통해 폐로 보내고 좌심실은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여 대동맥을 통해 전신동맥 순환계로 방출하며 8~15mm의 두꺼운 근육조직으로 우심실보다 2~3배 두껍다.
3, 심장막
벽측(섬유성) 심막과 장측심막의 이중벽으로 심장을 싸고 있으며, 심낭강에는 얇고 미끄러운 두층의 장막사이에 심낭액이 들어 있다. 이는 심장의 마찰을 감소시켜준다.
4. 판막
1) 방실판막 (atrioventricular valves)
· 삼첨판막(Tricuspid valve)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
· 이첨판막(승모판막, mitrial valve)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
2) 반월판막 (semilunar valves) : 대혈관에서 심실로 혈액의 역류 방지
· 폐동맥판막 (Pulmonic valve) : 우심실과 허파동맥 사이에 위치
· 대동맥판막 (aortic valve) :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