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Case Study
1) 간호사정
2) 활력징후 (V/S : Vital Sign)
3) 특수 검사
4) 투약 약물
5) 사정도구
6) 간호진단
본문내용
1. 정의
괴사성 근막염은 일반인에게 '살 파먹는 병' 혹은 '살 파먹는 세균'으로 알려져있다. 피부의 심부와 피하조직에 드물게 생기는 염증으로 주로 피하조직 내에서 근막을 따라 퍼진다. 1형은 복수균 감염을 말하고, 2형은 단수균 감염을 말한다. 여러 형태의 세균이 괴사성 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roup A streptococcus (Streptococcus pyogene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vulnificus, Clostridium perfringens, Bacteroides fragilis 와 같은 것 들이다.
2. 병태생리
화농성 연쇄상구균의 외독소와 같은 독성물질을 세균이 분비해서 피부나 근육을 파괴하는 것이다. 화농성 연쇄상구균은 슈퍼항원으로 알려진 외독소를 생산한다. 이 독소는 T세포를 비특이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고, T세포는 사이토카인을 과생산한다.
3. 원인
원인 미생물에 따라 흔히 1형과 2형의 두 가지로 분류한다. 1형은 복합균 감염으로 전체 괴사근막염의 55~80%를 차지하며, 배양 검사에서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혐기균, 등 평균 4~5개의 미생물이 분리되는 경우이다. 1형 감염의 원인균은 대개 장의 균무리에서 기인하며 , 임상적으로는 장관이나 복부 관통상 수술, 욕창궤양이나 항문주위 농양, 바르톨린샘 농양이나 외음질 감염 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당뇨병이나 말초혈관 질환, 비만, 만성 신부전, HIV감염 등의 다양한 면역기능 이상을 가진 환자에서도 발생한다.
2형은 단일균 감염으로 A군 베타용혈 연쇄구균, 황색포도구균 등에 의해 지역사회의 건강인에 발생하며, 주로 하지에 발생하고 1형에 비해 발생 빈도는 낮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괴사성 근막염에 의해 발생하는 회음부 괴저는 회음부 괴저 (Fournier씨 괴사)는 일반적으로 하부 직장과 항문 주위에 상주하는 여러 세균의 복합 감염과 이들의 상승 효과로 악화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