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이란 태아 및 그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하여 자궁경관이 개대되고 거상함으로써 산도를 따라 모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분만과 출산의 과정에서 중요한 5가지 요소가 있다. (분만에 양향을 미치는 요인)
① 태아와 부속물(P assenger): 태아, 태반, 양막, 양수, 제대 등
② 산도(P as-sage): 아이가 나오는 깊은 질,
경산도(골반) & 연산도(경부, 질, 질구, 회음조직 등)
③ 만출력(P ower): 1차 만출력(불수의적, 자궁수축)
2차 만출력(수의적, 산모의 힘)
④ 산부의 자세(P osition): 산모가 취할 수 있는 자세
⑤ 산부의 심리사회적 고려(P sychoso-cial considerations): 정서적인 준비, 지지자와 환경적 상태
→ 이런 요소들 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정상적인 분만은 어려울 수 있다.
■ 태아(만출물, passenger)
태아 신체와 몇몇 부위와 태아가 모체 산도를 통과하는 방법은 분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는 동안 머리크기, 선진부, 태위, 태세, 태향 등의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달라진다.
(1) 태아 머리 (아두, fetal head)
- 분만 시 가장 중요한 아두는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크므로 일단 만출되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들은 거의 지연되지 않는다.
두개골(Skull)
: 2개 두정골, 2개 측두골, 1개 전두골, 1개 후두골로 구성되어 있다.
봉합선(sutures)
: 분만 시 압박을 받으면 시상봉합(ㅅ자봉합), 후두봉합, 관상봉합, 전두봉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뼈들이 주형(molding)을 형성할 수 있다. (좁은 산도를 빠져나올 때 태아 머리가 겹쳐지는 상태) → 생후 3일정도 지나면 원상 복귀한다.
천문(fontanelle)
: 두개골 봉합선의 교차지점에 막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전천문(대천문)과 후천문(소천문)은 골반 내 아두의 위치를 식별하고 출산 후 신생아의 상태를 사정할 때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