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수업자료][학습지도안][교수학습과정안][우리말수업지도안][수업연구지도안] <우리말의 옛 모습> 연구수업지도안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22.02.17
- 최종 저작일
- 2022.02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우리말의 옛 모습> 연구수업지도안입니다.
목차
1. 수준별 학습 목표
2. 교수 – 학습지도안 세안
3. 끌개 자료
1) 끌개 자료 1
2) 끌개 자료 2
3) 끌개 자료 3
4. 수준별 매체 및 자료, 평가 문항
1) TP 자료 1
2) TP 자료 2
3) TP 자료 3
4) TP 자료 4
5) TP 자료 5
6) TP 자료 6
7) TP 자료 7
8) 참고 자료
9) 읽기 자료
10) 과제학습 자료
11) 형성 평가
본문내용
◆ 훈민정음의 의미
훈민정음이란, 새로 창제한 문자의 이름인 동시에 문자의 체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만든 책(서문, 예의, 해례)의 이름이기도 하다.
◆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
훈민정음을 만든 동기는 훈민정음 머리의 세종 어제 서문과 훈민정음해례의 끝에 나오는 정인지 해례 서문(序文)에 분명히 드러나 있다. 이 두 서문은 훈민정음을 만든 당사자들이 직접 그 동기와 목적을 밝힌 것이고, 특히 정인지의 해례 서문은 세종의 서문을 좀더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서문의 내용은 결과적으로는 비슷하다.
세종 어제 서문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이 셋으로 나뉘어 있다. 즉,
(가) 국어는 중국어와 다르므로 한자(漢字)로는 잘 통하지 아니한다.
(나) 따라서, 백성들이 제 뜻을 마음대로 펴낼 수가 없다.
(다) 그러므로, 새로 28자를 만들어 쉽게 익혀 일상생활에 사용하게 한다. 이 세 가지 내용을 좀 더 살펴보자.
첫째는, 세종을 비롯하여 세종을 도와 그 언어 정책을 수행한, 이른바 정음 음운학파라고 일컫는 집현전 소장 학사들은 확고한 언어관, 문자관을 가졌었다.
훈민정음 서문에 한․중 양국은 언어의 차이 때문에 한자가 통용될 수 없다고 밝힌 것은 언어, 문자의 본질적 차이를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언어․문자관의 확립을 뜻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의식은 새 문자를 만들게 된 근본적 동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일반 백성들로 하여금 정상적인 문자 생활을 하도록 도모하였다. 즉, 일반 백성이 뜻대로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훈민정음 제작 동기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다.
셋째는, 언어․문자관의 확립에서 출발하여 정상적인 문자 생활을 도모하기 위한 문자 제작에서, 철저하게 대중적이며, 실용적인 문자로써 그 보편화를 기도한 점이다.
그리고, 끝으로 훈민정음 창제는 당시의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