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임신 중 가장 흔한 내과적 합병증 중 하나이다. 임신 중 당뇨병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현성 당뇨병 (overt DM) : 임신 전에 당뇨로 진단된 경우
2)임신성 당뇨병 (gestational DM) : 임신 중에 당뇨로 진단된 경우
gestational DM 중에는 overt DM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overt DM인데 임신한 후에 검사를 해서 GDM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임신 초기에 발견된 GDM은 overt DM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임신성 당뇨병 (gestational diabetes)
1. 정의
: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 전에는 당대사 장애가 없었던 임신부에게 임신 중에 당대사 장애가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중에 내당능장애(glucose intolerance)가 발생하면 임신성 당뇨병이라 분류한다. 인슐린 저항성은 임신 말기의 대사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여 내당능장애(IGT) 혹은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자료
· Longo 외(2013). Harrison’s 내과학 제 18판. Volume 1. 대한내과학회. p 2922-2957
· F. Gary Cunningham외(2014). Williams obstetrics 24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p 1125-1143
· ‘임신성 당뇨’. 분당차병원 건강정보. 질병정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