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의 초급 학습자라면, 한국에서의 생존에 필수적이고, 의사소통의 기본이 되는 어휘·문법 규칙·담화 요소 및 문형을 습득하는 반면에 학문 목적의 중급 학습자라면 위와 같이 초급학습자보다도 일상생활에서 좀 더 다양한 체험을 할뿐더러, 좀 더 포괄적이고 깊은 내용을 다룰 수 있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중 략>
Ⅱ. 학습 목표 설정
1. 학습 내용의 주제
여러 가지 형용사, 형용사의 활용 – 서강대 한국어 3A : Ⅵ. 외모와 성격
2. 해당 학습 내용 선정 배경
학문 목적의 중급 학습자는 대학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한다. 학술활동이든 친교활동이든 사람과 사람이 만나면 기본적으로 하게 되는 활동이 있는데, 그것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활동으로는 한국어로 자신의 경험을 표현하기, 자신의 기분 표현하기, 사람의 생김새를 표현하기 등이있고, 앞에서 말한 활동들의 확장형 활동인 사람 찾기, 찾아왔던 사람 설명하기, 다른 사람을 소개해주기가 있다. 위와 같은 활동을 잘 해내려면 한국어에서 꼭 사용해야 하는 단어들의 무리가 바로 형용사이다. 동사가 대상과 문장의 주어의 동작을 나타낸다면 형용사는 대상의 생김새와 상태를 설명해 주는 단어이기 때문에 경험과 사실, 대상의 생김새와 상태를 실감나게 표현하려면 형용사를 배워서 쓸 줄 알아야한다.
참고자료
· 수업의 교안 및 교재
· 김명광, 한국어 교육개론 교안, 2주・5주・10주 ~ 11주
· 김선정 외,「한국어표현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 한국어 교재
· 김성희 외,「서강한국어 3A – Student Book」,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도서출판 하우, 2004.07.30., 71-84 (4 pages)
· 김성희 외,「서강한국어 3A – Work Book」,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활용한 페이지 : 72,78 - 2 pages)
· 한국어 능력 시험 연구회,「한국어 능력시험 TOPIKⅠ, 한 번에 통과하기」, 시대고시기획, 2016, 68-71・81-82 (6 pages)
· 김정숙 외, 『세종 한국어 2』, 국립국어원, 2013.06, 76-85 (10 pages)
· 김정숙 외, 『세종 한국어 4』, 국립국어원, 2013.06, 148-157 (10 pages)
· 도서
· 원해영,「즐거운 한국어 수업을 위한 과제 활동 안내서 - 초급」, 박이정출판사, 2015.06.08., 35-36 (2pages)
· 이익섭, 『한국어 문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7-19 (3 pages)
· 이익섭, 『국어학 개설』, 학연사, 2015, 125-128 (4 pages)
· 논문
· 유영(2015), 「과정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 협동과정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41-51 (11 pages)
· 김은영, 「국어 성격 형용사에 대한 연구」, 『언어과학연구 제31집』, 언어과학회, 2004.12, 57-80 (24 page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