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학실험]상대식별 실험 REPORT
- 최초 등록일
- 2022.02.06
- 최종 저작일
- 2019.04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산업공학실험]상대식별 실험 REPOR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실험의 목적 / 이론적 고찰]
1. 실험의 목적
2. 이론적 고찰
Ⅱ. 실험 방법
1. 피 실험자
2. 실험 도구
3. 실험 방법
Ⅲ. 실험 분석
Ⅳ. 결론
본문내용
서론 [실험의 목적 / 이론적 고찰]
1. 실험의 목적
인간 공학과 관련하여 상대 식별 능력에 관한 실험이다.
표준 자극과 JND 사이에는 일정한 비례 관계가 성립하는데 실험을 통해 실제로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지, 이런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면 실험과정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실험이다.
2. 이론적 고찰
두 개의 자극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두 개의 자극이 같은지 다른지를 탐지해 내는 능력을 변별이라고 하며, 두 개의 자극의 차이를 탐지해 내기 위해서는 두 개의 물리적 가극 간에 최소한 이상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이를 차이 역, 또는 겨우 탐지할 수 있는 차이(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라 한다.
웨버는 인간이 겨우 탐지할 수 있는 차이(JND)를 연구한 결과, JND는 표준 자극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표준 자극에 대한 JND의 크기 비율을 웨버 소수(Wber’s Fraction)로 상수화 하였다.
< 중 략 >
분석 : 표준자극 15부터 표준자극 90까지의 JND의 변화부터 분석해보자면, 표준자극이 90일 때를 제외하고 전체적인 JND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있다. 하지만 15에서 30에서는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학습효과로 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겠다. 표준자극이 90일 때에는 체감상의 구분을 할 수 없었고 식별이 되지 않는 관계로 오히려 자극의 크기의 변화에 상관없는 무분별한 형태의 에러 확률을 나타내고 있다. 웨버 상수는 표준자극이 커지면 커질수록 커지는 것이 마땅하나 피 실험자 XXX의 전 일 음주로 인한 컨디션 난조로 자극 식별에 있어서 둔감한 반응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전체적인 누적 에러 비율로 보았을 때에는 현저하게 표준자극이 클수록 에러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 자료
정병용 · 이동경, 현대인간공학, 제3판, 민영사, pp 56-59
박 경수. 인간공학. 영지문화사. 1996
이 순요. 미래지향적 인간공학.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