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예술치료
1. 예술치료란?
2. 예술치료의 역할
3. 평가 과정에 있어서의 예술
4. 예술 과제들
5. 치료
6. 다감각 응용 활동
7. 결 론
Ⅱ. 미술치료
1. 자폐아동의 미술치료
1) 예술치료의 장점
2) 예술치료의 효과
2. 미술치료기법의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예술치료란?
미술, 음악, 연극, 문학, 무용 등 예술 활동을 통해 말로써 표현하기 힘든 감정이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기분의 이완과 감정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심리치료의 방법
2. 예술치료의 역할
예술치료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자발적이고 즉흥적이기 때문에 언어적인 구사를 회피하고 자신의 마음을 열지 않는 자폐아동이나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예술치료는 창조적인 표현치료이기 때문에 경직된 근육과 마음을 이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심리적으로 무기력하거나 위축된 사람에게는 활력을, 자신감이 없거나 결정력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자신감 회복을, 그리고 자아가 심하게 손상되어 있는 사람에게는 건강한 자아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예술치료는 대소근육의 향상, 언어발달, 대인관계의 개선, 우울이나 불안의 극복, 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 주기도 한다.
- 평가 과정에 있어서의 예술
자주 있는 일이지만, 자폐증 장애는 비지시적 예술 과제에서 재빨리 모습을 드러내는 매우 확고한 관심으로 나타난다. 아동의 세계로 나 있는 창문, 따라서 공동 주시와 사회적 상호 교류의 초점에 대한 기회는 치료 초기에 주어지고 확인된다. 이러한 고착증적 관심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활용하는가가 사회적 개입(social interventions)의 성공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Baker, Koegel, & Koegel, 1998).
- 예술 과제들
몇 가지 예술 과제들이 사회적 기능 요법들(social skills interventions)을 위한 일부분의 평가로서 유용하다. 간단한 교대 게임(turn-taking game)은 그 아동과 평가자가 각자 자신이 좋아하는 색상의 펜을 집어 들고서 한 장의 종이 위에다 번갈아 가면서 모양을 그리거나 낙서를 하는 게임이다. 그 아동이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평가자나 그 아동이 “수지 차례야” 또는 “진 차례야”라고 말하면서 순서를 재촉하여 차례 지키기의 역학 관계를 구체화시킨다.
참고자료
· 김양순. 자폐아동을 위한 표현예술치료. 2008. 학지사
· 최외선 외. 미술치료기법. 2009. 학지사
· 관련 블로그 및 인터넷 검색자료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5757okok&logNo=110017205086
· http://smart_happy.blog.me/20174021015 자폐아동의 미술치료|작성자 두학심
· http://blog.naver.com/5757okok/110005251217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237&cid=62841&categoryId=62841
· https://blog.naver.com/khj7744/60195212413
· https://blog.naver.com/dbdb625/22150543850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