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르후 전투와 광해군의 대외정책
2. 대동법과 북인 집권 세력
3. 광해군 처남과 오현종사
4. 허균
5. 조보(朝報)에 내지 마라
6. 총평
본문내용
영화 광해는 인조반정으로 군(君)으로 강등되었던 광해군을 재조명하였다. 영화는 광해군을 조선 왕조에서 유일하게 사대주의로부터 자유롭고 백성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임금으로 묘사하고 있다. 역사 속에서 명나라에 대한 광해군 입장을 살펴보자. 후금 태조 누르하치가 만주 대부분을 통일하고 명나라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그 세력을 날로 팽창시키자 명나라는 후금을 칠 계책을 세우고 조선에 원병을 청했다. 광해군은 강홍립을 도원수(都元帥)로 임명하고 출전시켰다. 후금군은 명군을 격파하고, 함께 참전했던 조선군 장수들은 전사하였다. 강홍립은 후금 적진과 통하여, 출전이 본뜻이 아님을 알리고 투항하였다. 강홍립이 적에 투항한 것은 본인의 뜻이 아니었다. 광해군으로부터 ‘형세를 보아서 향배를 정하라’고 밀지를 받았던 까닭이다.
참고자료
· 이장희 (1995). 부차전투(富車戰鬪).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2021-12-02 접근).
· 지두환 (1996). 선조, 광해군대 대동법 논의. 한국학논총, 제19권, 51-71.
· 오항녕 (2017). 광해군대 경제정책에 대한 교과서 서술. 조선시대사학보, 제83호, 89-128.
· 이덕일 (2009).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중앙일보, www.joongang.co.kr/article/3476286 (2021-12-02 접근).
· 국사편찬위원회. 영남의병장왜병을격퇴하다. 우리역사넷, contents.history.go.kr (2021-12-02 접근).
· 이수환 (2011). 16세기 전반 영남사림파의 동향과 동방오현 문묘종사. 한국학논집, 제45집, 55-78.
· 이수건 (1997). 유희분(柳希奮).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2021-12-02 접근).
· 이근호 (2010). 인물한국사 허균. 네이버캐스트, terms.naver.com (2021-12-02 접근).
· 신병주 (2018). 조선의 참모로 산다는 것. 매경헬스, www.mkhealth.co.kr (2021-12-02 접근).
· 국사편찬위원회, 광해군일기(중초본) 광해 8년 2월 28일,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id/koa_10802028_003 (2021-12-02 접근).
· 이기환 (2017). '보도지침' '오프더레코드'를 어긴 조선의 기자. 경향신문, www.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1706291554011 (2021-12-02 접근).
· 오항녕 (2016). 벌거숭이 임금님의 변신: 영화<광해>.
· 동북아역사재단 블로그, blog.naver.com/correctasia/220683072708 (2021-12-02 접근).
· 계승범 (2015). 광해군, 두 개의 상반된 평가. 한국사학사학보, 제32호, 493-525.
· 김수영 (2013). 한국 드라마 제작의 다양성을 위한 팩션사극(Faction-史劇)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 김은주 (1989). 한국 영화의 예술성과 반사회성 연구. 영상학보, 제1호, 123-12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