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물 속에 존재하는 물질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출하여 수질을 분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수질이 오염되면 수역이 혼탁해져 Hydrogen sulfide, Methane gas, Ammonia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악취를 내거나 생활환경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수질을 분석하는 일은 중요하다. 우선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의 양인 용존산소, DO로 수질의 지표를 설정하며,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pH, 세균학적 수질검사를 토대로 수질을 분석한다. BOD의 경우 초기측정 DO값과 BOD5의 값을 비교하여 DO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COD의 경우 각 시료에 따른 적정횟수와 소비된 산화제의 양을 토대로 공식계산을 통해 COD값을 얻어 수질을 결정하였다. 또한 pH는 pH meter를 통해 값을 얻었으며, 세균학적 수질검사에서는 MacConkey agar를 통해 plate에서 발생한 미생물의 Colony를 토대로 Sample 2에서의 세균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었다.
Introduction
용존산소, (Dissolved Oxygen, DO)는 물 속에 용해 되어있는 산소를 말한다. 수온상승과 염도증가에 따라 용존산소는 감소하고, 산소의 대기중 Partial pressure에 의해서 증가한다. 순수한 물의 포화 용존 산소량은 9ppm이다. (20℃, 1기압 기준).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백만분율이라고 부르며, 용질의g/용액의mL * 106으로 나타내거나 1mg/1kg 등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외에도 천분율 (용질의g/용액의mL * 103, ppt), 10억분율 (용질의g/용액의mL * 109, ppb)가 있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은 호기성(Aerobic) 미생물이 시료 내에서 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를 분해해,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량이다.
참고자료
· Kenneth W. Raymond, General Organic and Biological Chemistry, 4th edit, John Wiley & Sons Inc. Singapore. pp.216~217.
· Michael R. Penn, 외 2인,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emistry, 2nd edit, Biochemical oxygen demand,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EOLSS), p.4.
· Marielle Hoefnagels, Biology : concepts and investigations, 2nd edit., 정해묵 역, 『생명과학:개념과탐구』,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2013, p.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