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임상증상
1) 기도와 호흡양상
2) 활력징후의 변화
3) 신경계 증상
4) 심리 사회적 증상
4. 치료
1) 비수술요법
2) 수술요법
5. 간호
1) 경증 두부 손상 대상자 교육
2) 정상 체온유지
3) 가스교환고 기도개방 유지
4) 감각과 인지 기능증진
5)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
6) 합병증 예방
본문내용
1) 일차적 뇌 손상(Primary brain injury)
일차적 뇌 손상은 뇌조직 안에 물리적 힘이 작용하여 발생하며, 개방성 뇌 손상과 폐쇄성 뇌 손상으로 구분한다.
(1) 개방성 두부 손상(epen head injury)
다양한 골절, 선상 골절, 함몰 골절, 개방성 골절, 분쇄성 골절, 두 개저 골절등을 동반
* 선상골절
일반적으로 두개골의 연속성이 단순파괴된 것을 말한다.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선상골절은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으나, 선상골절이 뇌경막혈관구나 경막정맥동을 통과한다면 혈관 파열로 경막외 혈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로르 조의한다.
* 함몰골절
두개골 두께 정도로 뇌조직 안쪽으로 두개골이 함몰된 상태며, 흔히 뇌열상과 감염을 초래한다. 압력으로 뼈가 여러조각으로 부서지면 분쇄성 함몰골절이라고 한다. 성인이 5mm이상 함몰되면 수술을 시행하며, 개방성 함몰골절은 뇌경막의 파열로 골수염이나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잇으므로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 두개저 골절
두 개 기저의 손상으로, 보편적인 형태는 선상 골절이 두개골의 기저부와 전.중.후와까지 확장되어 뇌척수액이 귀나 코로 누출된다. 이 골절은 잠행적으로 출혈로 발전해 내경동맥의 손상, 1,2,7,8뇌신경의 손상과 감염을 야기할수 있다.
(2) 폐쇄성 두부 손상(closed head injury)
둔기로 인한 외상으로 뇌좌상, 뇌진탕, 뇌열상이 있다. 뇌 손상 정도는 뇌진탕처럼 경미한 상태부터 축삭이나 뇌의 백질 손상같은 심각한 상태까지 다양하다.
뇌진탕- 뇌 손상 중 가장 양호한 형태로 의식 상실이 5분 이내에 회복된다. 의식이 깨어난 다음에는 외상 직전이나 직후의 기억이 없어지는 외상성 기억 상실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뇌좌상- 연막이 파손되어 피질과 백질 부위에 점상출혈이 나타난다. 함몰 골절에서 흔히 발견되며, 전두엽과 측두엽에 침투성 손상을 초래한다. 무의식상태가 5분이상 지속되며, 초기 충격 기간에는 뇌 기능 불안정 증상이 나타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