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 다문화가족을 다루는 TV 방송프로그램(2021년 1월 이후 방송분)을 5회 이상 시청하고 방송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다문화가족의 정책수요를 파악한 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 또는 프로그램 두 가지 이상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1.16
- 최종 저작일
- 2022.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500원4,95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현황
1) 현황조사
2)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3) 다문화 포용대책
2. 방송으로 알아본 다문화가족의 현실
3. 다문화가족의 정책수요
1) 다문화 2세가 가지는 정체성
2) 6070세대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3) 다문화가족 내부의 소통 문제
4. 프로그램 제안
1) 제2언어 활용 방안 교육 프로그램
2) 가족의 소통과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
3) 다문화가족 인식 개선 프로그램
5.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자료
V. 부록
1. KBS [이웃집 찰스] 다문화 2세 특집 - 우리 아이들
2. EBS [다문화 고부열전] - 엄마가 되어주세요
3. EBS [다문화 고부열전] - 못말리는 시어머니의 이혼 예방법
4. EBS [다문화 고부열전] - 나는 멕시코 사람입니다~ 한국 스타일 NO!
5. EBS [다문화 고부열전] - 고부 삼국지 ‘며느리살이’ 하는 시어머니
본문내용
Ⅰ. 서론
국경의 개념이 점점 사라지고 나라간 물리적인 개념의 장벽이 무너지면서 우리 사회도 더이상 단일민족의 특징을 가지지 않게 되었다. 다양한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우리 사회 속에 스며들어 함께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다문화가족도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다문화가족도 이제는 더이상 생소한 단어가 아니다. 우리 사회는 다문화가족의 형성을 넘어 다문화 2세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이 되는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의 흐름이 변하고 우리나라에도 변화가 찾아왔지만, 아직까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시선은 따뜻하지 않다. 다문화는 우리 사회에 빠르게 자리 잡았지만 사회적 인식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문제는 과거 한국으로 이주해 온 외국인의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제는 다문화 2세가
우리 사회에서 겪는 정체성 혼란,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입지 확보와 같은 문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다문화 2세는 부정적인 사회적인 분위기와 인식으로 인해 스스로도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고 일상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분위기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며 앞으로 더 빠르게 변화해갈 우리 사회에 적응하고 대비하기 위해서도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그래서 지금부터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다양한 지원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문화 2세가 가지는 정책수요, 그에 대한 프로그램 제안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Ⅱ. 본론
1.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현황
1) 현황조사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은 2018년을 기준으로 약 300,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다문화가족의 평균 자녀수는 0.95명, 자녀의 평균 연령은 8세 정도이다. 대부분의 다문화가족에서 우리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해 외롭다거나 자녀가 학교생활을 원만하게 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참고 자료
다문화, 센터소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누리
https://www.liveinkorea.kr/portal/KOR/main/main.do
여가부 차관 “수위높은 인종 혐오 발언, 현행법으로도 처벌”, 이상서, 연합일보, 2020-12-11
https://www.yna.co.kr/view/AKR20201211106700371?input=1195m
“백인혼혈은 예능, 동남아혼혈은 다큐”···차별에 멍드는 다문화 2세, 이진한, 김금이, 매일경제, 2021-05-04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05/43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