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지역사회 간호사정
1. 지역 특성
2. 건강 수준
3. 지역사회자원
4. 지역사회주민의 요구도
본문내용
I. 지역사회 간호 사정 확인
1. 지역 특성
가. 지리학적 특성
1) 면적 : 136.6㎢
➜ 16개 행정동으로 구성
➜ 총 230,516명 거주(남자 116,523명, 여자 113,993명)
2) 고령인구 비율(65세 이상)
➜ 37,240명(16.16%)으로 대전 180,667명(11.9%)보다 높게 차지함
➜ 중구·동구·대덕구·서구·유성구 순으로 동구는 고령사회에 진입
3) 보건의료기관
➜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요양병원 제외)은 총 10개소
➜ 병·의원은 중앙동, 효동, 가양동에 밀집되어 있음
➜ 보건소(효동), 보건지소(삼성동), 보건진료소(대청동)에 각각 1개소 설치·운영
➜ 공공보건의료기관은 대전에 7개소가 있음
➜ 대전광역시립 제2노인전문병원 1개소가 동구 산내동에 위치
나. 인구학적 특성
1) 인구학적 특성
➜ 동구는 2017년 말 전체인구 230,516명으로 2007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2년을 기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음
➜ 동구를 포함한 원도심 지역의 인구 유출은 서구, 유성구로의 이동과 세종시로의 유출이 심각한 상태임
2) 연령별 인구
➜ 동구의 인구구조는 1977년 말 기준으로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이 높은 별형에서 2017년 말 기준,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이 71.5%, 비생산 연령층 중 14세 이하가 12.3%, 65세 이상이 16.2%로 선진국 구조와 유사한 항아리 형태로 변화함
➜ 향후 20대와 30~50대가 감소하는 반면 60대 이상은 증가하여 역삼각형의 항아리 구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는 동구 37,240명(16.16%)으로 대전 180,667명(11.9%)보다 높게 차지함. 중구 40,354명(16.21%), 동구 37,240명(16.16%), 대덕구 23,832명(12.75%), 서구 51,821명(10.63%), 유성구 27,420명(7.87%) 순으로 동구는 고령사회에 진입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