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실험기법] Color-Tunable Light-Emitting Polymers via the Controlled Oxidation of MEH-PPV
- 최초 등록일
- 2022.01.15
- 최종 저작일
- 2021.12
- 11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화학실험기법] Color-Tunable Light-Emitting Polymers via the Controlled Oxidation of MEH-PPV"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Experimental section
(1) 알맞은 농도의 용액 준비
(2) m-CPBA를 이용한 MEH-PPV in chloroform의 산화
(3) MEH-PPV in THF m-CPBA의 산화
4. Results and discussion
(1) A-E sample의 색상과 결과
(2) A-E sample의 spectra 분석
(3) Discussion
5. Conclusions
본문내용
1. Abstract
이 실험은 MEH-PPV와 m-CPBA의 oxidation 반응을 통해 color tuning을 하고 이를 통해 π-conjugated system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particle in a box model을 이해하고 MEH-PPV와 m-CPBA의 반응 조건(용매, 농도, 반응시간)에 따라 변하는 색상, 형광, spectra를 통해 경향성을 파악하고 blue shift, limit를 확인한다. 고분자의 광학적 성질에 대해 알아본다.
2. Introduction
고분자 발광재료를 이용한 PLED는 저분자 OLED와 달린 ink-jet, Spin coating, 스크린 프린팅 등 간단한 공정으로 대형화면에 적합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용액 공정을 통한 PLED 소자에서 휘도, 효율의 향상과 소자의 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공액 고분자는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의 반복으로 인해 형성된 π-공액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고분자에 비해 낮은 밴드갭 에너지를 보이며, 이것에 기인한 반도체적 전기 전도성과 가시광 영역대의 흡수 및 발광을 주요한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MEH-PPV는 π-conjugated polymer 중 하나로 π-conjugated polymer는 이중결합과 단일결합이 교대로 연결되어 있는 backbone chain을 가진다. overlapping p-orbital이 delocalized π electron system을 생성해 반도체와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기존 고분자에 비해 낮은 band gap energy를 가지고 visible 영역에서 흡수, 발광의 특징을 나타낸다. Delocalized electron은 탄소와 같은 면에 존재하는 시그마 결합에 비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파이결합 전자를 의미한다.
참고 자료
장영철,신상배,Chang Young-Chul,and Shin Sang-Baie. "PFO/PFO:MEH-PPV 이중 발광층을 이용한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작과 특성 연구."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15.2 (2008): 23-28.
강미정,and 우한영. "공액 고분자와 센서 응용." 고분자 과학과 기술 20.4 (2009): 32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