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격신앙의 역사와 흔적, 한국사, 사상사 관련 리포트
- 최초 등록일
- 2022.01.02
- 최종 저작일
- 2021.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들어가며
2. 무격신앙의 정의와 특징
3. 고대의 무격신앙
4.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무격신앙
5. 고려의 무격신앙
6. 조선의 무격신앙
7. 현대에 남아있는 무격신앙
8. 마치며
9.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불교와 유교, 기독교의 경우 조직화된 체계와 교리를 바탕으로 국가나 조직을 통해 대중적으로 퍼진 종교들이다. 이 종교들은 불상이나 절, 제사나 교회 등의 상징을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와 달리 개인이나 가정, 마을단위로 퍼진 무격신앙은 무당이나 굿을 떠올리게 하는 것 말고 대중들에게 상징적으로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하지만 주변을 잘 살펴보면 전통이나 문화, 다른 종교와 융합한 형태로 남아있는 무격신앙의 흔적들이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국가적인 제사로서 명맥을 이어온 경우도 있다고 한다. 개인이나, 가정, 마을 단위로만 이어지던 무격신앙이 과연 어떠한 역사를 거쳐 우리 주변에 남아있게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무격신앙의 정의와 특징
역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무격신앙에 정의와 특징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무속신앙, 민간신앙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무격신앙은 학자들마다 정의와 포함관계가 불분명하지만 대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자연과 문화를 기반으로 갖춰진 종교나 신앙을 의미한다.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 우리문화연구반에서 저술한 <민간신앙에서의 무교의 고찰>에서는 무격신앙의 특징을 다음 4가지로 정리한다.
① 주술성: 인간의 무력감에서 초자연적 힘에 의존하려는 믿음의 물리적 표현.
② 현세이익성: 자기중심, 현세중심, 생활중심의 공리적 이익 추구
③ 소집단성: 가족 또는 부락 단위 한계 내에서의 봉쇄적 신앙, 횡적 사회적 관계의 결여
참고 자료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kr/main
민간신앙에서의 무교의 고찰 - 1982. 숙명여자대학교 우리문화연구반
신라불교의 무격 수용과 신성공간의 재구성 - 2014. 김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