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1.01
- 최종 저작일
- 2021.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사회복지 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영화 <로망>,<장수상회>와 치매가족의 문제
1. 치매의 정의
2. 치매의 특성
3. 우리나라 치매현황
4. 치매로 인한 치매가족의 문제
5. 치매가족을 위한 해결방안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82세 치매 중기이신 시어머니와 함께 생활한지가 2년이 되었다 .치매는 다른 집안의 일이라고 여기며 큰 관심이 없었으나 막상 시어머님이 치매 검사를 받으시고 알츠하이머 중기 진단을 받으시는 과정과 여러 가지 치매 어르신들의 활동공간을 알아보며 치매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치매와 관련된 영화를 보게 되었고 그 중 <장수상회>를 감명 깊게 보았다. 후반부를 보지 않았더라면 칠성어르신이 치매에 걸리셨는지 주변사람들이 가족이었는지 전혀 눈치 채지 못했을 것이다.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옆에서 함께 하며 지지해주는 가족들의 치매노인을 대하는 태도와 주변사람들의 관심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풀어내는 감동적인 영화였다. 반면 또 다른 동반치매를 다룬 <로망>에서는 치매부부를 제외한 주변 가족들의 행동이 <장수상회>와는 좀 다르다. 이 두 가족의 상반된 모습이 우리사회가 치매를 이해하고 공부해야하는 이유가 된다고 생각하며 우리나라의 치매노인과 그 가족들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보게 되었다.
Ⅱ. 영화 <로망>과 치매가족의 문제
1. 치매의 정의
치매는 라틴어로 ‘정신이 없어진 것’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이처럼 치매는 정상적인 두뇌가 후천적인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손상을 입거나 파괴가 되어서 지적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지적능력에는 판단력, 기억력, 언어 이해 및 구사능력, 시공간에 대한 인식능력, 주의집중력, 사회생활능력 등이 포함된다. 치매에 걸리면 사람다움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과거에는 치매를 망령, 노망이라고 부르면서 그저 노인이라면 당연히 겪게 되는 노화현상이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많은 연구 결과 뇌 질환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 그중 노인성 치매의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과 뇌동맥경화증이나 뇌졸중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혈관성 치매이다. 우리나라는 알츠하이머병이 치매원인의 약 50~60%, 혈관성 치매가 약 20~30%로 나타난다.
참고 자료
송봉선,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문제와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개선방안”, (신라대학교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김재경, “[진단] 초고령화 시대 노인돌봄의 답을 찾다 (1) 노인돌봄 실태”, (경남신문, 2019-07-29)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2017), 네이버 지식백과
보건복지부 치매국가책임제 홈페이지, “추진배경” “자세히 알아보기”,
김재경, “[진단] 초고령화 시대 노인돌봄의 답을 찾다 (1) 노인돌봄 실태”, (경남신문, 2019-07-29)
보건복지부 치매국가책임제 홈페이지, “치매 국가책임제 – 추진배경”
김태열, “65세 이상 치매유병율 10%, 5년내 100만명 넘어선다”, (헤럴드경제, 2019-03-20)
영화<장수상회> 감독 강제규 (2015년 개봉)
영화<로망> 감독 이창근(2019년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