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Result
1)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차이 및 대응방안
2) 박테리아 흡착 팽창질석 기반 친생태 잔디블록의 개발
3) 박테리아를 활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 및 실용화
4. discussion
5. 참고문헌
본문내용
abstract
우리는 흔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와 구별되는 전혀 다른 생물체로,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오래 살아남은 생명체이기도 하다. 인간을 비롯해 동 식물 모두와 공생하거나 독립해서 살아갈 수 있는 이 생명체는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잘 활용한다면 건설현장은 물론이고 우리 삶 전반에 걸쳐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는 양날의 검과 같다. 이러한 박테리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산업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한 연구 사례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고자 한다.
Introduction
박테리아(bacteria)는 생물의 주요 분류군 중 하나로, 세포소기관을 가지지 않은 대부분의 원핵생물이 여기에 속한다. 원핵생물 가운데 고균이 박테리아와 다른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 최근 알려졌으며 이 둘을 면밀히 구분짓기 위해 ‘진정세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자료
· 이선우, 이준하, 서승범 (2021).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차이 및 대응 방안. 로봇과 인간, 18(2), 17-25.
· 윤현섭, 정승배, 양근혁, 이상섭, 이재영 (2016). 박테리아 흡착 팽창질석 기반 친생태 잔디블록의 개발. 한국건설순환 자원학회논문집, 4(3), 316-321
· 손용준, 민지현, 홍민영, 박우준 (2020). 박테리아를 활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 및 실용화. 콘크리트학회지, 32(5), 15-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