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디어법 개정안
2. 신방겸영
3. 신방겸영에 대한 찬성
4. 신방겸영에 대한 반대
5. 나의 생각
본문내용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신문법에 따라 대기업은 일간신문에 한해 지분의 50%까지 취득 또 는 소유할 있게 되었고, 일간신문 지배주주의 주식 및 지분 취득 제한을 없애 여러 신문사 소유가 가능해졌다. 또한 IPTV법에서는 대기업ㆍ신문ㆍ뉴스통신사의 IPTV에서의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에 대한 지분 소유를 30%까지 허용하였다. 지상파ㆍ종합편성 및 보도 채널 을 한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지분도 66%로 상향조정되었으며, 외국인은 종합편성과 보 도전문채널을 60%까지 소유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대부분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 고 있으나 언론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제한장치를 두고 있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미디어법 [media law]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5779&cid=43667&categoryId=43667>, (2016, 4, 2)
· 강상현(2010), 언론사 소유구조에 따른 뉴스 프레임 비교분석: 미디어법 개정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문과 방송의 겸영 허용해야", <연합뉴스>, 2008년 5월 13일,
·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083270>, (2016. 5. 3)
· 박지윤(2011), 미디어관련법 처리과정의 갈등구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고흥길 ‘민영화 세계적 추세, 신방겸영 반드시’”, <PD 저널>. 2008년 9월 2일,
·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77>, (2016.5.11)
· 6) “신방 겸영, 여론 다양성 훼손”, <YTN>, 2008년 9월 4일, <http://www.ytn.co.kr/_ln/0102_200809041840378463>, (2016. 4. 4)
· “신방겸영만 허용해도 ‘재벌신문정치방송’ 탄생”, <PD저널>, 2009년 4월 20일,
·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59>, (2016. 5. 9)
· “미국도 실패한 '신방겸영', 왜 따라가려 하나”, <프레시안>, 2009년 7월 8일,
·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58981>, (2016.5. 3)
· “제한된 파이에 과열 경쟁, 변칙 틈새광고에 목맨다”, <미디어오늘>, 2016년 4월 17일,
·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9356>, (2016.5.1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