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폐쇄/샛길(Esophageal atresia/Fistula)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5) 위험요인/주의사항
6) 합병증
3. 선천성가로막탈장(CongenitalDiaphragmatic hernia)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5) 위험요인
6) 합병증
4. 배꼽탈출(Omphalocele)
1) 정의
5. 메켈게실(Meckel diverticulum)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5) 위험요인
6) 합병증
6. 선천성 비대성 날문협착증(Congenital hypertrophic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5) 위험요인
6) 합병증
7. 히르수스프룽병(Hirschsprung disease)
1) 정의
2) 증상
3) 원인
4) 치료
5) 위험요인
6) 합병증
본문내용
●기본적인 소화계(Digestive system)구성과 소화의 단계
소화계는 크게 위장관,소화부속기관으로 나뉘게 되며, -목구멍을 시작으로 식도-위-십이지장-공장-회장-맹장-결장-직장-항문 순서로 소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영양분을 체내로 흡수된다.
● 폐쇄/샛길(Esophageal atresia/Fistula)
-위창자관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식도에 폐쇄(EA)가 생기면 역류에 의해 즉시 발견할 될 수 있다.
1) 정의
식도 폐쇄증이란 정상적으로 식도가 위장으로 연결되지 않고 끝나는 선천성 기형으로 대부분의 경우에 기관지 식도
누공(증이 같이 존재한다.
정상적으로 식도와 기관은 분리되어 있다. 기관식도누공은 이 두 가지 관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선천적 질병을 말한다. 그 결과로 음식물이나 액체가 삼켜졌을 경우 폐에 흡인을 일으켜 흡인성 폐렴이 발병할 수 있다. 대개 기관식도누공은 식도가 미처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은 식도폐쇄증을 동반한다.
폐쇄 아래쪽 식도는 샛길(TEF)를 통해 기관지에 연결된다.
가장 많은 유형은 식도폐쇄와 함께 먼 쪽 기관에 기관-식도 샛길이 있는 것(EA with distal TEF, 85%)(아래 사진 중 제일 왼쪽)
샛길은 폐쇄 없이 존재할 수 있어 흡인, 질식, 폐렴 등 심각하게 진행될 수 있고 따라서 수술을 통한 교정 필요하다.
(2)증상
식도 폐쇄증이 있는 신생아들은 대부분 생 후 몇 시간 안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장 초기 증상은 입과 코를 통한 과다한 타액준비이며, 이는 후인두에서 위장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고여서 발생한다. 전형적으로 첫 수유 시에 우유가 역류되고, 기침을 동반한 구토가 발생하며, 심하면 질식까지 유발됩니다.
- ① 양수과다증 병력(85%), 미숙아 ② 침을 흘리거나, 콧구멍에서 거품이 남 ③ 수유 시 기침, 질식, 역류, 청색증, 반복되는 폐렴 발생
-기관식도누공 및 식도폐쇄증의 첫 증상은 산전 초음파 상에서 양수 과다증이 보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