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시설에서의 청소년인권침해 유형에 대한 연구에서 손진희와 노자은(2020)은 ‘청소년시설’에서 청소년 인권이 보호될 수 있는 정책을 제언하고 있다. 손진희 노자은, 청소년시설에서의 청소년인권침해 유형에 대한 연구, 2020
본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시설 종사자들은 폭력 및 위험으로부터 안전해야할 권리는 가장 중요한 인권영역으로 언급한 반면, 노동에 관한 권리에 대한 중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 또한 청소년시설에서 복장 착용 문제, 폭력 관련 문제 등과 같은 뚜렷한 부분에서의 인권 침해는 중요하게 생각한 것에 반해 근로에 관한 문제, 노동에 관한 문제에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지 못했다. 실제로 청소년들의 인권침해 사례 중 노동에 관한 사례가 많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다양한 청소년인권 침해사례 중 노동에 관한 침해사례를 조사하여 검토와 분석을 통해 침해 원인을 제시한 후 이에 대한 대책 마련까지 고려해보려 한다.
참고자료
· 손진희 노자은, 청소년시설에서의 청소년인권침해 유형에 대한 연구, 2020
· [매일경제] 사장은 "돈 없다" 월급 떼먹고, 손님은 "10대가 왜 일하냐" 반말
· [뉴스포스트] 노동하는 청소년 느는데, 권리는 배울 곳이 없다. 2021.01.21.
· [미디어스] KBS '슈돌'-TV조선 '미스터트롯', "아동·청소년 인권 침해" 2020.03.26
· [한겨레] 일하는 동안은 학생도 노동자, 권리 인정해줘야 2012.01.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