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정의, 역사, 적응증, 부작용, 간호 등 모든 것에 대해 정리해놓았습니다
책과 여러 최신 논문을 정리하여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기충격요법은 인위적으로 전신성 경련을 유발하기 위해 환자의 머리에 전극을 붙이고 전기를 흘려보내는 치료방법이다. 작용기전에 대한 확실한 정설은 없지만 뇌의 여러 부위에서 전기적, 생화학적, 내분비적, 유전적 변화를 초래한다는 것이 유력하다. 그 중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감수성의 하향 조절, 세로토닌5-HT2 수용체의 증가, GABA 합성과 유리의 감소 등이 지지받고 있다.
1938년 셀레티와 비니에 의해 소개된 초기에는 마취유도제와 근이완제 없이 시행하였기 때문에 부정적 인식을 심어줬고, 인지기능 저하를 심하게 일으켜 공포와 편견이 심했다. 또 지금은 전기경련치료라고 불리지만 초반에는 전기충격치료라고 불렸는데 ‘충격’이라는 단어가 사람들의 공포를 유발했으며 19세기 사형의 한 방법으로 도입된 전기의자를 연상하여 감전과 고통을 떠올려 사람들의 공포와 낙인을 유발하기도 했다. 1950년대 말부터 항정신성 약물이 개발되면서 이용률은 점차 감소했다. 하지만 1951년 스웨덴에서 처음으로 바비튜레이트와 석시닐콜린을 사용하는 마취하 수정 ECT를 도입하였고 ECT 기기 발전으로 인지기능(기억력)의 일시적 저하와 뇌손상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약물치료 저항성, 낮은 관해율, 다양한 부작용 및 약물 불순응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1980년 후반부터 ECT 시술이 다시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시 인정받게 된 1980년대에도, 표준화된 기준이 없이 시행되었고 ECT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인 상태로 일부 병원에서만 시행되고 있었다. 사람들은 영상매체, 언론, 지인, 의료진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데 이 중 영상매체와 지인을 통해 정보를 얻은 경우 두려움과 편견이 더 컸다. 예를 들어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배트맨 시리즈’, ‘수어사이드 스쿼드’ 등에서 나오는 ECT의 모습은 동의와 마취과정 없이 처벌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표현됐다.
참고 자료
김희철,정성훈,안용민,박승현,김용식,and 정인원(2020).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 방지에 대한 전기경련치료의 역할. 생물정신의학, 27(2). 64-73.
송태홍,심주철,공보금,강제욱,문정준,김성진,임지섭,김임규, and 정도운(2012). 전기경련치료가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51(5). 271-276.
윤탁,김용식,이남영,김세현,최준권,이정혁,정인원(2017). 전기경련치료의 마취를 위한 실제적 문제들. 생물정신의학 24(3), 110-128.
윤탁,강웅구,김용식,and 정인원(2016). 전기경련치료의 최적화를 위한 최근 동향. 신경정신의학, 55(1). 12-24.
이준희,김민아,김세현,이유상,and 권준수(2020).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해소 방안. 생물정신의학, 27(2). 37-41.
주성우(2016). 전기경련요법의 현황과 효과 및 안전성. 울산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학위 논문
주은정,김희철,정성훈,박승현,이남영,최영숙,김용식and 정인원(2021).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조사. 신경정신의학, 60(2). 135-142.
최영민,정성원,김양태,and 김희철(2015. 일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전기경련요법의 치료적 효과. 신경정신의학, 54(3). 330-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