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제1형 당뇨병
발생: 췌장 랑게한스섬의 β세포의 파괴 → 절대적 인슐린 결핍으로 초래
췌장의 랑게한스섬 90% 이상 소실 시 발생
발병 연령: 소아, 청소년기에 발병 (드물게 70~80대에서도 발병 가능)
특징: 갑작스러운 당뇨병 증상의 발현, 인슐린 주사의 필요 (미시행 시 급성 합병증 케톤산증 발생)
원인: 유전, 면역, 환경요인
● 유전적 성향: 당뇨환자의 형제는 10배 발병률 높음, 특정한 HLA를 가진 사람에게 위험성 증가
● 면역반응: 랑게한스섬 β세포 항체와 인슐린에 대한 자가항체가 원인
▶ 85%의 환자에게서 β세포 자가항체가 발견됨
● 환경적 요인: 겨울철에 발생 환자가 많음
콕사키 바이러스와 같은 특정 바이러스가 췌장의 β세포를 파괴해 인슐린 분비를 저하시킴
② 제2형 당뇨병
발생: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저하가 관여
▶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의 분비는 정상이나 반응 저하로 인해 포도당 흡수를 방해
원인: 유전적 요인 (바이러스나 HLA 항원과는 관련 없음)
특징: 발병과정이 점진적,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필요에 따른 인슐린 투여
정기적인 검사 시 혹은 우연히 발견되며 1형에 비해 케톤산증이 잘 발생하지 않음
위험요소
● 과체중: 체질량 지수 23kg/m2 이상
● 직계가족(부모, 형제자매) 중 당뇨병이 있는 경우
● 임신성 당뇨병 혹은 4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 공복혈당장애나 내당증 장애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 고혈압: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고혈압 약제 복용
● 고지혈증: HDL-콜레스테롤이 35mg/dL 미만이거나 중성지방이 250mg/dL 이상인 사람
● 인슐린저항성(다낭난소증후군, 흑색가지세포종 등)
●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 약물(당류코이드, 비정형항정신성 약물 등)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