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정상 수면
· 상향망상활성계(ARAS): 뇌간에서 뇌피질에 이름. 수면과 각성 활동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
· 트립토판: 세로토닌의 전구체. 수면효과, 서파수면 증가
· 카테콜아민, 아세틸콜린, GABA, 프로스타글란딘: 수면과 관련
↳ 콜린성 뉴런 자극 기능 억제→ 수면 유도
·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각성에 주로 관여/ 펩티드 히포크레틴: 수면과 각성 조절
1. 수면 단계와 수면 주기
1) 수면 단계
(1) NREM수면
① 1단계: 각성에서 수면으로 이행되는 과정. 전체 수면의 5% 이하, 수십 초에서 수 분가량
- 알파파(8-12Hz) 사라지고 저진폭 세타파로 변함(4-7Hz). 진폭이 작으면서 빠른 주파수
- 근육이 이완되고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이 둔함
② 2단계: 45-55% 차지. 수면방추파와 K복합파
③ 3단계 · 4단계: 15-20%. 진폭이 크고 느린 델다파- 서파수면/델파수면
↳ 회복 기능의 활성화, 호르몬의 분비
(2) REM수면
- 80% 꿈을 꾸게 되어 꿈 수면/역설적 수면. 20-25%차지
- 저진폭의 혼합된 주파수와 톱니 모양의 활동성 뇌파
- 근육의 긴장도 최저 수준으로 낮아지고, 자율신경계 활동 항진, 음경 발기
- 성인의 8시간 수면시간 중 REM수면 보통3-5회
2) 수면주기
· NREM수면과 REM수면: 대개 90-100분 주기로 하룻밤 동안 약 5회 정도
· 멜라토닌: 송과체에서 분비. 어두운 환경에서 분비되고 밝은 빛에서 억제
2. 수면의 기능
① 신체 회복기능: 낮 동안 소모되고 손상된 부분, 특히 중추신경계 회복
· NREM수면: 신체와 근육을 회복/ 뇌 온도와 뇌 혈류량 감소
· REM수면
-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켜 정신적으로 소모된 뇌 기능 회복/
- 체온조절 기능이 상실되어 생체E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저장
② 발생학적인 기능: 수면 동안 성장 촉진(REM수면: 신생아에게서 더욱 활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