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글입니다.
본 과제는 제 개인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작성된 과제입니다.
해피캠퍼스 외 다른 곳으로 복제, 복사, 붙여넣기, 정보공유, 배포 등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저작권은 저 본인에게 있습니다.)
완전히 붙여서 내시는 것 보다는 본인의 견해나 생각을 꼭 필참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의료관련감염 정의
Ⅱ. 본문
1) 의료관련감염 중요성, 현황
2) 의료관련감염 종류와 간호
3) 의료관련감염 관리방법 및 예방법
Ⅲ. 결론
1)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우리는 병원에 발을 들인 순간 의료관련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이란 원내감염, 병원감염으로도 불리며,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여러 가지 시술이나 치료 과정에서 의료 행위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감염이다.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전에는 감염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입원, 수술, 등 의료와 관련된 모든 행위, 그리고 의료인, 보호자, 방문자들이 의료시설을 방문함으로써 걸린 감염, 입원 48시간 이후, 퇴원 2주 이내에 발생한 모든 감염을 ‘의료관련감염’ 이라 부른다. 이러한 의료관련감염은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입원 기간 연장, 신체 기관의 영구적 손상, 의료비 상승, 등을 유발하는 공중보건 문제 중 하나이다.
1) 의료관련감염 중요성, 현황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유행, 2015년 메르스의 병원 내 전파, 2017년 대학병원 신생아실 수액 오염으로 인한 사망, 2020년 코로나19 유행까지 의료관련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의료관련감염의 원인은 환자의 면역 저하, 침습적 시술, 의료기관·의료인의 부주의, 과실, 혹은 의료기관에 방문한 방문객, 등 여러 가지가 원인이 된다. 의료관련감염은 노령인구 증가와 만성 퇴행성 질환, 면역저하 환자, 등 감염에 취약한 인구의 증가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의료관련감염은 환자군, 병원, 등의 특성에 따라 감염의 종류가 다르지만, 입원환자의 5-10% 정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중환자실은 다제내성균 감염 위험도가 높고, 중증도, 기저질환, 침습적 중재, 등으로 의료관련감염이 쉽게 발생하는 곳으로 요로감염, 혈류감염, 폐렴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장이 지정하는 감염병의 종류, 2020.09.04.
의료관련감염 집단발생 대응 안내 제2판. 질병관리청, 2021.11.03.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 중환자실 부문 결과 보고:2018.07~2019.06, 김은진 외20, 2020.
의료기관 사용 기구 및 물품 소독 지침, 보건복지부, 2020.12.18
감염관리 정책의 현재와 미래, 이재갑, 2020.12.31.
의료관련감염 자율보고 운영안내 제1판, 질병관리청, 2020.09.29.
질병관리청, 알림자료, 홍보자료, 영상자료, 혈관 카테터 관련 감염 예방, 2018.05.11.
병원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수행에 관한융합연구-계획된 행위이론(TPB) 기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2017.05.28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2021.10.19.
의료관련감염 자율보고 운영안내(안), 질병관리청, 2020.9.29.
간호 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에 대한 표준주의 인지도와표준주의 수행도:내적 건강· · 통제위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4호, 2017.11.
우리나라 의료 관련 감염 감시체계. 대한의사협회지, 최영화(2018). 61(1), 21-25
병 고치러 갔더니… ‘병 주는 병원’, 동아시아언스, 2013.10.04. (그림활용)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질환정보, 질환백과, 요로감염.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정보, N의학정보, 폐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