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효과적인 감정 반영에 대하여 기술하시오.’라는 주제를 받고 감정 반영 내담자중심 상담기법 정도만 떠올린 후 어떻게 정리하는 것이 좋을 까 한참을 고민하다 내가 상담을 하며 그리고 상담심리학 강의를 들으며 느낀 것과 더불어 감정 반영에 대해 자료조사를 토대로 하여 과제를 감정반영의 필요성, 방법, 유의점, 형식, 예시로 본론의 내용을 정리하여 나갈 예정이다.
Ⅱ. 본론
감정반영(reflecting feelings)이란 다른 사람의 감정의 흐름을 따라 함께 느끼는 것과 이러한 느낌을 상대방에게 다시 돌려주는 상호작용을 말한다. 말하는 사람의 감정에 대하여 반영을 하면, 그들의 감정에 대해서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따라서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감정을 명확히 집어내고 다시 상대방에게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감정반영은 상대방이 전하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이것을 다시 상대방에게 잘 전달하는 기술까지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즉 감정반영이 필요한 이유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을 잘 파악하고 명료화하는 과정을 통해 내담자가 하는 이야기를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내담자에게 잘 전달하여 내담자의 경험을 명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에반스(2000), 상담의 필수기술(Essential interviewing : A Programmed approach to effective communicat), 나남출판
· 조영시(2016), 질투가 여자중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공감 개입으로서 감정 반영, 타당화 개입 실험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 하혜숙·장미경 공저 청소년상담(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네이버 지식백과, 감정 반영 [reflecting feelings, 感情反映]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6865&cid=62841&categoryId=62841
· 6주차 감정의 이해/ 공감과 감정 반영 (요리심리! 요리치료!, 서대표 블로그 글) 2016. 05.29. 00:18,
· https://blog.daum.net/soudal/14159558
· 하혜숙 청소년 상담 방송대 pdf 강의안 p39(하혜숙, 장미경(2017). 청소년상담. 방송대출판문화원, 부교재 : 하혜숙, 황매향, 강지현 역(2018). 심리치료의 비밀-뇌, 마음, 관계를 바꾸는 대화. 지식의 날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