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ACA infarction은 전대뇌동맥 부위가 막힌 것
▪ 병태생리 및 원인
- 뇌혈전증: 동맥경화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혈전
- 뇌색전증: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음
- 뇌출혈: 출혈로 생긴 핏덩어리에 의해 경색 발생 가능
▪ 증상
: 전대뇌동맥 경색의 경우, 전두엽 및 두정엽의 내측이 손상되어 감정조절 장애, 인지장애, 무의지증, 무감동, 초조함 및 반신마비(편마비)
▪ 진단검사
- 뇌 전산화 단층촬영 (CT)
- 자기공명영상 (MRI)
→ 뇌신경 및 뇌혈관의 상태 파악 후, 그에 따른 약물 치료나 수술 치료 고려
▶ 뇌경색 수술요법
✓ TFCA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 뇌혈관 조영술은 뇌혈관 속에 조영제 주입 후 X선 촬영을 통해 뇌혈관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법
→ 뇌혈관 조영술과 같은 방법으로 수술 및 시술을 진행함
- TFCA는 대퇴동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여 진행함
※ 대퇴동맥을 통해 시행하는 이유
: 총경동맥이나 다른 동맥에 비해 감염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적기 때문
▸ 뇌혈관 혈전 용해술
: 비교적 큰 혈관이 막혀 발생한 뇌경색의 경우, 뇌세포가 죽기 전 재관류를 시키기 위함
- 막힌 동맥에 직접 혈전을 녹일 수 있는 약물 투입
- 스텐트 삽입 등으로 혈전 제거
▸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 뇌동맥류 출혈이 발생했거나 앞으로 생길 수 있는 출혈 예방을 위해 뇌동맥류를 정상혈류로부터 완전히 차단하는 치료법
→ 동맥류 속에 미세도관 삽입하고 정상 혈관은 침범되지 않으면서 오로지 동맥류만 막히도록 백금으로 만든 코일을 채워 넣는 방법
참고자료
·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제 7판. 서울 문정동. 현문사. 2019 : p.419~444
·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I. 경기도 파주. 수문사. 2020 : p.225-260, p.229
·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II. 경기도 파주. 수문사. 2020 : p.382~386, 412~419
·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경기도 파주. 수문사. 2019: p.261, 268, 321, 325, 328
· 간호사·보건의료인을 위한 왜? 어떻게?. 5 성인간호 뇌신경·근골격·콩팥·비뇨기. 의학교육
· 김순오 외.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성북구. 신광출판사. 2019 : p.270, 275~276, 277
·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서울시. EduFirst. 2020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서울아산병원. 질환정보. (접속일: 2021.10.06.)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 울산중앙병원 (접속일: 2021.10.06.)
· http://www.ulsanjoongang.co.kr/05customer/customer04.htm?i_menu=&bid=5&mode=view&uid=630&no=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