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사정시 확인해야 할 것들을 항목별, 계통별로 분류해 놓았습니다.
A+ 받은 자료이고 정말 공들여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Chief Complaints
2. Present Illness
3. Past History
4. Family History
5. Social History
6. Review of Systems
7. Physical Examinations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Chief Complaints (CC) 주요 증상:
환자의 주요 호소증상. 환자가 가장 강하게 호소하는 증상을 말함. 주요 증상에 대해 환자에게 가능한 한 자세하게 말하게 하고 대상자의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2. Present Illness (PI) 현병력:
주요 증상을 확충함. 문제의 발병 시기, 부위, 기간, 특성, 동반증상, 완화/악화 요인, 치료내용(OLD CART)이 기술되어야 한다. 일상생활에 대한 질병의 영향과 증상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증상에 대한 자가치료, 관련 위험요소나 기타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3. Past History (PH) 과거력:
진찰 시까지의 환자의 모든 경과를 말함. 알레르기, 투약, 아동기 질병, 성인 질병, 건강유지 활동(예방접종, 선별검사, 담배, 알코올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4. Family History (FH) 가족력:
부모, 조부모, 형제 자매, 자녀, 손자녀를 포함한 친척들의 연령과 건강상태 또는 사망원인을 기술하거나 가계도로 나타낸다. 대상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함께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당뇨, 결핵, 암 병력, 유전질환 등에 대해 물어본다.
5. Social History (SH) 사회력:
환자의 사회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 환자의 성명, 연령, 성, 종류, 국적, 직업, 출생지, 가족 구성, 결혼력, 주요 수입원, 생활 정도, 교육 수준, 종교, 기호(알코올, 담배) 등이 기록됨.
6. Review of Systems (ROS) 계통별 문진:
중요한 증상에 대해 각 계통별로 청취하는 것으로, 징후를 간과하지 않기 위해 완전하게 실행한다. 계통별 문진에서는 현병력과 연관되지 않아 대상자가 간과했던 문제들이 드러날 수도 있다. 면담과 검진이 끝난 다음에는 문서 형태로 정리한다.
참고 자료
간호사를 위한 건강사정, Beth Hogan-Quigley 외, 군자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