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소공급 체계
- 산소공급체계는 저유량계와 고유량통계의 2종류가 있음.
- 대상자에게 유입되는 산소의 총 농도는 호흡수나 1회 호흡량에 따라 다름.
1) 저유량체계
- 저유량 산소요법은 대상자의 흡기량에 실내공기가 포함되기 때문에 낮은 농도의 산소가 투여됨.
(1) 저유량 산소요법 공급장비
➀ 비강캐뉼러(Nasal cannula)
- 1~6L/분에 24%(1L/분)~44%(6L/분)의 산소를 전달함.
- 만성폐질환 등의 장기간 산소를 투여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
- 만성적으로 CO2가 정체된 대상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자극이 억제 되어 호흡정지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2~3L/분 이상의 산소 투여하지 않음.
- 분당 4L 이상의 유량은 비강과 인두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며, 콧구멍 윤 활제로 바셀린을 사용하면 캐뉼러의 구멍을 막을 수 있어 금함.
➁ 단순안면마스크(Simple face mask)
- 단기간 산소를 투여하거나 응급상태에서 40~60%의 산소농도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
- 호기된 공기의 재호흡을 막기 위해 최소 5L/분의 유속 필요.
➂ 부분재호흡마스크(Partial rebreathing mask)
- 6~11L/분의 유량으로 60~75%의 산소 제공.
- 저장주머니가 있어 대상자는 첫 번째로 호기한 1회 호흡량의 1/3을 재호흡하는데, 여기에 산소가 많기 때문에 높은 FiO2를 제공함.
- 부분재호흡마스크를 사용하기 전에 저장주머니를 부풀린 후 적용해야 함.
➃ 재호흡방지마스크(Non-rebreathing mask)
- 저유량 산소요법 공급장비 중 가장 높은 산소농도 제공하며, 대상자의 호흡양상에 딸 90% 이상의 FiO2를 전달할 수 있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