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정상분만
1) 종류
2)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분만의 전구증상 : 분만을 암시하는 신체 변화
4) 분만의 단계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분만단계(분만1기-분만4기)
• 분만 1기 (개대기) : 규칙적인 자궁수축 시작∼자궁경부의 완전 개대
• 분만 2기 (태아 만출기) : 자궁경부의 완전 개대∼태아 만출
• 분만 3기 (태반 만출기) : 태아 만출∼태반 만출
• 분만 4기 (회복기) : 태반 만출∼산후 1∼4시간까지
1) 분만 1기
․초임부: 평균 12~14시간
․경산부: 평균 7~8시간
(1)경관 개대에 따른 분만 1기 분류
①잠재기(latent phase): 자궁경관 개대는 미미, 자궁소실 있음
②활동기(active phase): 자궁경관 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③이행기(transitional phase): 선진부 하강이 일어남
[분만1기 구성 표]
(2) 경부 소실(effacement)
․분만 1기동안 경부가 점차 짧아지면서 얇아져서 종잇장처럼 들어 올려지는 과정
․기전: 이슬이 빠져나오거나, Braxton Hicks 수축에 의해 자극됨
․초임부: 경관이 거상된후 개대, 경산부: 거상과 개대가 동시에 이루어짐
․거상의 정도는 백분율(%)로 표시
(3) 경부 개대(dilatation)
․분만 1기동안 경부가 증대되고 확장되어 아기가 통과할 정도로 넓게 개대되는 것
․완전개대 : 10cm 정도의 내대, 내진시 경관이 촉진되지 않음
․기전 : 자궁상부근육 견축 / 태아 선진부의 압력 / 양수의 압력
․감염이나 수술로 인한 경관의 상흔은 경부개대를 지연시킴
․분만 1기 산부가 수의적으로 힘을 주면 경부개대에 비효과적
․경부개대는 대부분 활동기에 이루어짐
(4) 태포(bag of water)
․진통 시 양막은 태아 선진부보다 하방으로 유입되어 팽륜되며 자궁목관 내로 진입하는 것.
(5) 카테콜라민의 영향
․분만 시 스트레스 호르몬
․분만이 진행되면서 카테콜라민 수준은 스트레스 통증, 분만 합병증 등으로 인해 점차 증가
․과도 분비 시 자궁수축의 효율성 저하, 분만지연, 태반과 자궁의 혈액순환 장애, 호흡곤란증, 한랭 스트레스, 대사성 산독증 유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