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감염관리
1) 직원의 감염관리
2) 의료기구관리
3) 감염성 폐기물관리
4) 환경 소독
5) 보호자와 방문객
6) 검사나 병실 밖 이동 시
본문내용
7) 감염관리
① 직원의 감염관리
★ 혈액매개감염노출 사고(needle stick injury, NSI) 방지를 위해 recapping 금지
★ 사고 발생 시 노출된 상처를 비누와 물로 씻고, 점막은 생리식염수로 잘 닦아냄
★ 혈액매개감염노출 사고발생 시 업무처리- 평일인 경우 통상 보건의료기관의 의무실 방문하여 감염노출 보고서 작성 및 제출- 보고서에는 노출현황, 노출 원인제공자의 감염경력의 확인과 현재 상태가 기록됨- 원인제공자의 검사결과를 확인하고 필요시 검사를 위찬 조치를 취함- 필요시 해당 백신이나 면역글로불린을 투약- 노출자의 검사나 진료 등의 추후 관리계획을 수립- 보건의료기관의 정해진 절차대로 수납을 처리 / 통상 공상으로 처리하도록 요청- 노출자는 채혈실에서 채혈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 검사결과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감염내과나 소화기 내과의사의 진료를 받음
② 의료기구관리
★ 골수생검, 늑막생검 및 간생검용 등에 사용하는 특수 바늘 종류는 사용 후 소독제로 통과한 후 소독을 위해 반납
★ 소독제는 0.1% 테고(tego)를 100배 희석하여 사용함
★ 환자가 옆에 별도로 비치하였던 혈압계, 체온계 등은 HBV quat나 70% 알코올로 잘 닦음
③ 감염성 폐기물관리
★ 격리환자 방이나 침상 옆에 감염성 폐기물 박스를 두고 감염성 폐기물을 함께 분리수거
★ 일회용 장갑, 거즈, 비닐가우느 알코올 스폰지, 주사줄 등이 해당됨
★ 폐기물 박스 외에 병실에 감염성 폐기물이 적체되어 있지 않도록 주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