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신경계 재활병동 사례입니다
목차
1. 임상실습 중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위의 사례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분석하고 방안을 제시하시오.
4. 임상실습 중 본인이 다른 사람과 치료적 의사소통방법 이용과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시오.
본문내용
1. 임상실습 중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평소 하반신에 힘이 없어 휠체어 보행을 하던 환자가 어디에 부딪힌 후 사소하게 생각하여 간호사에게 말하지 않았는데, 어느 날 아파서 간호사에게 보여주니 발목이 부어있는 상태였고 x-ray 촬영 결과 발목에 골절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간호사는 골절 처치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 상황이다.
간: (눈을 맞추며 대상자쪽으로 상체를 기울임) 환자분 x-ray상 골절이 있는게 확인되었어요.
(걱정스런 표정) 보통 골절이 있으면 pin을 박아서 수술을 하거나, 아니면 깁스를 해서
유지를 하거나 둘 중에 하나는 해야 되요. (정보제공)
환: 어디서?
간: 저희 병원에는 정형외과가 없어서 밖에 나가서 진료를 보셔야 되요. (정보제공)
그런데 아버님이 지금 휠체어를 타고 다니고 다리를 쓰지 않는 상태잖아요.
그러면 수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을 수도 있어요. (판단)
수술을 통해서 다리를 쓰려고 하는건데... 밑에 치료 가서는 다리 재활운동은 하세요?
환: 다리?
간: 네 그 발판 밀고 하는 다리에 힘 들어가는 운동 하세요? (재진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