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적
- 적절한 체위는 폐의 확장을 돕는다.
- 산소화와 환기를 유지한다.
- 호흡기계 질병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특히, 기도분비물이 많고 흉벽의 폐확장이 감소되어 있는 대상자에게 비용효과적
2) 적절한 체위 종류
(1) semi-Fowler's position
- 심장호흡기계 질환 대상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체위이다.
- 복부에 의한 횡격막의 압력 감소시키며 폐의 확장을 도모한다.
(2) 똑바로 앉아서 약간 앞으로 기대는 자세
- 배근육(복근), 가슴근(흉근) 등의 호흡부속 근육의 작용을 돕는다.
≫ 호흡곤란 완화
3) 체위 변경
- 호흡의 에너지 요구량이 적어진다.
-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2. 분비물 제거
1) 구강인두, 비강인두 흡인
(1) 목적
- 구강, 비강 및 기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제거한다.
≫ 기도 개방성 유지
- 분비물로 인한 호흡기계 감염이나 무기폐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주의사항 및 이론적 근거
주의사항
이론적 근거
의식이 있는 대상자라면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구강인두 흡인 시에는 고개를 옆으로 돌리도록 하고 비강인두 흡인 시에는 목을 과신전 시키도록 한다. 의식이 없는 대상자라면 측위를 취해준다.
반좌위는 기침과 호흡을 쉽게 하도록 돕는다.
*카테터 삽입 길이
- 성인: 16cm
- 아동: 8-12cm
- 영아: 4-8cm
구강인두 흡인 시 카테터 삽입 길이는 입 가장자리에서 하악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비강인두 흡인 시에는 코에서 귓불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카테터의 흡인 조절구멍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카테터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 흡인을 시행하면 점막의 손상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호흡기도로부터 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1회 흡인 시간이 10-15초를 넘기지 않도록 한다.
15초보다 흡인 시간이 길어지면 기도점막이 손상되고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참고자료
· 핵심기본간호수기 제 2판 / 현문사 / 양선희 외
· 기본간호학 Ⅰ 제 3판 / 현문사 / 양선희 외
· 기본간호학 Ⅱ 제 3판 / 현문사 / 양선희 외
·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main.do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 경규혁. (2012). 기계환기의 이탈. Journal of Surgical Critical Care. 2(2)
· 박진주, 조현재. (2015). 심부전 환자에서 기계적 순환 보조 장치의 임상적인 역할. 대한내과학회지. 88(2)
· 전경만. (2014). 중환자실 환자의 통증, 진정 및 섬망 관리. 대한내과학회지. 86(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